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162

분청사기철화당초문접시(粉靑沙器鐵畫唐草文楪匙)

口緣이 밖으로 편평하게 바라진 깔때기형 몸체에 다소 높고 좁은 굽이 불안정감을 줍니다. 구연부 및 外底部를 제외한 내외면에 白土粉裝하였는데 橫으로 칠한 귀얄 흔적이 선명합니다. 외면 아래에 陰刻帶線을 地線으로 삼고 基部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며 좌우로 전개되는 당초문을 배..

분청사기철화당초문대접(粉靑沙器鐵畵唐草文鉢)

器側線이 斜線에 가깝게 뻗어 전체적인 기형이 삿갓형에 가까운 대접입니다. 口緣은 다소 안으로 오므라져 있으며 굽은 바깥으로 벌어져 있어 안정감을 줍니다. 구연부 및 外底部를 제외한 내외면에 白土粉裝하였는데 橫으로 칠한 귀얄 흔적이 선명합니다. 외면 아래에 陰刻帶線을 地線..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속칭 계룡산병이라 불리는 철화분청병으로 이는 계룡산 학봉리일대가 철화분청가마로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이 甁은 口緣에서 胴上部까지만 귀얄로 백토분장하였는데 頸部 이상는 수리 복원되었습니다. 肩部와 胴體 중앙에 음각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거의 同樣의 당초문을 두 곳에 배치하였는데 ..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鷄龍山일대의 鶴峰里 가마에서 제작된 鐵畵甁으로 거의 수평으로 크게 벌어진 口部의 처리 짧고 가는 목을 지니 서서히 벌어지다 급히 줄어 좁은 굽에 이르는 胴體線 등 계룡산 병 특유의 선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면 전체를 귀얄로 백토분장하였는데 복부에는 일부 분을 바르지 않아 태토가 드..

분청사기박지모란절지문편병(粉靑沙器剝地牡丹折枝文扁甁)

물레 성형 후 胴體의 양면을 약간만 두둘겨 扁平하면서도 각면에 둥근 맛이 거의 남아 있습니다. 全面에 귀얄로 백토분장하였는데 가는 귀얄자국이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동체 전면은 縱橫帶線으로 5등분하였는데 넓은 전 . 후면에 크게 자리잡은 모란절지문은 아무 거침 없는 刻線이..

분청사기조화모란문호(粉靑沙器彫花牡丹文壺)

구연은 짧은 어깨에서 크게 외반되었으며 어깨에서 원호(圓弧)를 이룬측선은 거의 직선상으로 완만히 줄어들어 胴下部가 길쭉한 항아리입니다. 이러한 器形은 분청사기에 새롭게 등장하여 백자로 이어집니다. 全面에는 귀얄로얇게 백토분장을 한 후 상하에 일정한 공간을 남기고 문양..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풍만한 동체의 양면을 두들겨 편평하게 만든 병입니다. 외저부를 제외한 전면을 두껍게 분장하고 넓은 양면에는 2조의 圓文으로 文樣面을 만들었는데 區劃線은 아래쪽이 생략되었습니다. 좁은 측면에는 方框內에 四葉文을 박지조화기법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앞면에는 물고기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