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162

.백자상감연당초문호(白磁象嵌蓮唐草文壺)

조선시대 초기에는 고려백자의 여운이 남아 있는 硬質白磁와 중국 元代에 새롭게 만들어 지기 시작한 精緻한 경질백자가 일시적으로 같이 만들어 졌는데 이 壺는 그 모두를 아우른 항아리입니다. 밖으로 말린 口部에 圓을그리듯 이루어진 둥근 어깨에 최대의 지름을 두고 동체 을 이루..

백자상감연당초절지문호(白磁象嵌蓮唐草折枝文壺)

조선시대 초기에는 고려백자의 여운이 남아 있는 硬質白磁와 중국 元代에 새롭게 만들어 지기 시작한 精緻한 경질백자가 일시적으로 같이 만들어 졌는데 이 壺는 후자의 좋은 例입니다. 口部는 象嵌白磁로서는 덜 말려 다소 벌어진 정도이며 胴體는 楕圓形을 이루면서 口徑보다 좁은 굽에 연결되고 ..

분청사기철화당초문호(粉靑沙器鐵花唐草文壺)

구경이 넓고 구연은 각을 이루며 밖으로 짧게 꺾여 말렸고 동체의 중앙이 팽배된 圓壺 분청사기 철화문 壺의 일반적인 형태인데 내부에는 물레자국이 뚜렸합니다. 口緣에서부터 팽배된 胴體 중앙의 바로 밑까지만 백토를두껍게 발랐으며 구 위에 당초문을 시원하게 시문하였습니니다. ..

.분청사기철화당초문호(粉靑沙器鐵花唐草文壺)

낮게 외반된 구연부가 넓고, 굽이 좁은 계룡산요(窯)의 특징을 지닌 항아리로서 굽이 좀 낮은 편입니다. 백토시분(白土施粉)을 몸체 상면에만 분장하였으며 음각선문이 없이 상면에 자연스럽게 당초문을 그렸습니다. 몸체 하부에는 내화백토(耐火白土)를 바른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분청사기귀얄문발(粉靑沙器귀얄文鉢)

口緣이 짧게 외반되고 약간 벌어진 굽은 대나무 마디 형태입니다. 표면에 물레자국이 선명하며 귀얄로 백토를 얇게 발랐는데 마치 帶線文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얇게 입혀진 釉는 옅은 綠色을 머금은 灰色을 띠고 있으며 굽밑의 釉를 닦아내고 耐火土를 받쳐서 燔造하였습니다. 매끄..

분청사기철화어린문보(粉靑沙器鐵畵魚鱗文鱗 簠 )

祭器 '簠'의 형태를 쫓아 만든 곳으로 생각되며 '簠'는 몸체가 둥근 '簠'와 함께 곡식을 담는 그릇이었습니다. '簠'는 원래 네 모서리가 角을 이루어야 하나 이 魚鱗文簠는 口部만 사각이고 胴體 下部의 內外面은 曲面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대신 외면에 突帶를 붙여 四角..

분청사기철화어문병(粉靑沙器鐵畵魚文甁)

전형적인 분청사기 철화문, 굽안바닥을 제외한 전면에 백토를 입힌 후 중앙의 前 . 後 兩면에 각각 커다란 물고기를 鐵畵로 施文하였습니다. 얇게 시유된 유약은 黃味가 있으며 미세한 빙렬이 있습니다. 胴體 下部는 유약이 잘 녹지 않았으며, 부분적으로 유가 剝落된 곳도 있습니다. 굽은 낮고 직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