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서책 (文.書.帖.冊.) 202

추사 김정희 필 예서체(秋史金正喜筆隸書體)

추사 김정희는 "왕희지의 글씨는 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문필들로 인해 변질 됐으니 차라리 왕희지 이전의 글씨로 돌아가자"고 주창했습니다. 이 글씨는 추사의 글씨로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애도서겸고기 차종문자입보리 / 唯愛圖書兼古器 且從文字入菩提 』 " 오직..

사궤장겸기로회지도(賜几杖兼耆老會之圖)

이 그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원익(1547~1634)이 1623년(인조 1)에 궤장(책상과 지팡이)을 하사받고 기로연을 베풀었던 일을 기념하여 제작한 화첩에 수록된 것입니다. 사궤장제(賜几杖制)는 품계가 일품(一品)에 이르고 70세 이상 된 자로 관직에서 물러나려고 할 때 왕이 이를 허락..

동춘송준길필서첩/해서논어제12안연(同春宋浚吉筆書帖/楷書 論語第十二'顔淵')

이 서첩은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1606~1672)이 "논어(論語)" 제12장 '안연'편과 정자 (정호)<程子:程顥 1032~1085>의 주(註)를 해서로 쓴 것입니다. 총 18면인 이 서첩은 본래부터 첩의 형태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지금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글씨의 상하 양옆 일..

우암 송시열 필 해서(尤庵 宋時烈筆楷書/海東乾坤尊周大義)

송준길과 함께 조선시대 17세기에 강건 서풍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인물이었던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이 숭정 갑진 오월 <崇禎 甲辰 五月 (1664년)>에 쓴 큰 글씨의 해서(楷書)입니다. 1915년 5월3일 日本人 '佐佐桃治'로부터 8엔에 구입한 것으로, " <海東乾坤尊周大義&..

석봉 한호 필 행서 오행시(石峯韓濩筆五行書/東方虯 '昭君怒')

이 행서는 글씨에 비해 바탕면의 손상이 큰 편입니다. 석봉체의 전형을 보여주는 글씨로 필획은 살집과 근골(筋骨)이 풍부하며 또한 유연하면서도 굳센 느낌이 크다. 한호의 큰 글씨의 특징인 굵은 필획과 긴밀한 글씨의 짜임새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송설체(松雪體)를 벋어나 ..

전 안평대군 이용 필 행서 칠언시(傳安平大君李瑢筆行書/王建'宮詞')

당(唐)현종(玄宗)의 궁정생활 이야기를 칠언시로 담은, 당의 시인 왕건(王建)의 궁사(宮詞) 중 '섣달 그뭄의 풍경' 한 수를 행서로 쓴 것으로써 화려하면서도 활달한 기운이 있는 이 글씨를 안평대군(安平大君)의 글씨로 보고 있는데, 서첩 시작면 우측 상단 여백에 있는 <육일첩&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