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128

영산강유역 석실분 유물(銅鏡. )

영산강유역에서 조사된 銅鏡은 담양 제월리와 광주 쌍암동고분에서 출토된 3면이 있습니다. 이 시기의 동경은 중국의 초기 동경과漢鏡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고 있는데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되거나 모방되었습니다. 또 한경이외에 그것을 모방해서 다시 부어 낸 倣製鏡도 만들어 집니다. 대체로 1개의..

영산강유역 석실분 유물 (鐵製武器 鉾 . 劍)

영산강유역 石室墳에서의 武器類는 철제대도(鐵製大刀), 철모(鐵 矛=鉾)), 철촉(鐵鏃)등의 무기가 있으며 화살통 관련 유물들도 출토되고 있습니다. 영산강유역의 석실분에서 출토된 쇠칼(鐵刀)은 신덕 출토의 길이 110.5cm의 대형에서부터 복암리 3호분의 96석실에서 출토된 길이 38cm의 작은고리자루칼(..

영산강유역 석실분 부장풍습(副葬風習)

『 副葬風習 』 石室墳의 유물 埋納에는 玄室內部와 入口部, 그리고 墳丘의 일부 및 周溝 등에서 각기 상이한 내용과 기법이 발견됩니다. 우선 석실내부에는 副葬品가운데 被葬者의 신분과 관계된 威勢品이 추가되며, 현실의 입구에는 부장된 석실을 폐쇄한 뒤 행해지는 埋葬儀禮로서 祭儀와 관계된 ..

영산강유역 석실분 형태와 구조(石室墳 形態와 構造)

『석실분 형태와 구조』 영산강유역 석실분의 墳形은 옹관고분의 巨大墳丘에서와 같이 평면 원형, 방형이 많고, 前方後圓形의 조사 예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는 원형이며 咸平 金山里 . 羅州 伏岩里 등에서 예외적으로 方形墳丘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전방후원형은 靈岩 태간리 ..

영산강유역의 문화 3 (出土遺物.裝嚴具.鐵器)

『장엄구(裝嚴具)』 甕棺에서 출토된 장엄구(裝嚴具)에는 나주(羅州) 신촌리(新村里) 9號 을옹관(乙瓮棺)의 금동보관(金銅寶冠), 금동신발(金銅飾履), 은제단봉환두대도(銀製單鳳環頭大刀) 등이 있습니다. 관모(冠帽)는 신라와 가야고분에서 純金製, 銀製, 金銅製가 상당수 출토되었지만 고구려와 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