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144

삼채모란문능화반(三彩牡丹文稜花盤)

遼時代의 三彩는 요代후기 후반에서 12세기초입에 생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本器는 遼時代의 三彩로 遼三彩의 대표적 기형의 하나이며, 금속器의 祖形입니다. 모양을 만든 후 施文하여 底部를 제외한 器表面에 백화장을 베푼 다음 綠釉, 褐釉, 투명釉를 발라 燒成한 것입니다. 내몽고자치구의 林東..

녹유각화당초문피양병(綠釉刻花唐草文皮襄壺)

10세기전반에 흥행된 거란족의 遼國에, 中華의 문화와 사회가 동화된 측면을 볼 수 있는 독자적 문화로 창출된 도자로, 변방 지배층 기호의 색깔이 강하게 반영된 독특한 用器로 생산된 것입니다. 皮襄壺인 이 용기는 최상적인 거란적 특색을 지닌 도자의 하나로, 유목민의 飮用器인 皮袋(가죽으로 만..

갈유인화용수수주(褐釉印花龍首水注)

담황갈색의 胎土에 진중하게 바른 釉의 광택이 투명감이 있고 濃厚해 茶褐色을 보입니다. 器體肩部의 花文, 몸체胴部의 세밀한 櫛文을 사용하여 표현된 波浪文, 손잡이 표면의 幾何文 등은 印花技法으로 시문하였습니다. 대롱(管狀)모양의 注口을 입에 삼킨 형국의 龍首가 표현된 注口나 把手는, 器..

녹유획화모란문봉수병(綠釉劃花牡丹文鳳首甁)

遼時代 磁器의 전형적 스타일의 甁입니다. 입은 百合 모양을 하고 그 아래 鳳首形으로 꾸몄습니다. 목은 7段의 環形으로, 胴은 長胴形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아래 몸에 비해 작고 口緣보다도 좁은 굽이 다소 높게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불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붉은 素地에 白化粧을 바른 그 위에 綠釉를 입혔습니다. 몸체에는 線刻으로 모란문이 묘사되어 있고, 肩에는 捻花狀의 蓮弁文이 線刻되었습니다. 胴體部의 牡丹圖는 그 솜씨로 보아 陶工이 그린 것으로 보이는데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습니다. 宋磁의 봉수병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감은 찾아볼 수 없는 불안정한 모습의 작품입니다. 녹유획화모란문봉수병(綠釉劃花牡丹文鳳首甁) 中國 遼時代 (11-12世紀) / 高37.7cm 徑15.0cm 口徑10.0cm / 日本 五島美術館

백지록채초화문장경병(白地綠彩草花文長頸甁)

遼時代 領域의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북송의 청자와 백자에 가까운 磁器質로 거친 素地로 만든 白釉陶器에 褐釉 . 黑釉로 施釉한 硬質磁器입니다. 이 병은 硬質의 粗製陶器에 속하는 전형적인 遼磁의 스타일입니다. 口緣은 盤口形이며, 긴 목에 어깨는 작게 胴體는 길게 펼쳐진 닭의 몸 같은 형태의 병입니다. 철분이 함유된 거친 태토에 白化粧을 두텁게 입힌 후 그 위에 자유분방한 線刻으로 草花文을 앞뒤에 표현하였습니다. 초화문의 부분에 입힌 녹유는 선명한 綠色이나 색체의 농담이 고루지 않아 질이 좋지 않은 녹유로 보입니다. 遼의 영역에서는 10세기후반 대에는 白釉, 綠釉, 의 陶器들이 주로 보였으며, 이런 盤口甁의 형식들은 遼代 中期인 11세기중엽 무렵의 형식입니다. 기본적으로 白釉系의 도기입니다..

백소락당화문장경호(白搔落唐花文長頸甁)

커다란 盤口甁으로, 큰 盤口에 비해 가는 頸과 긴 몸채에 좁은 굽을 지닌 불안정된 느낌을 주는 작품입니다. 素地는 철분이 다소 함유된 회갈색의 태토로써, 백화장을 全面에 베푼 후 부분적으로 문양을 搔落한 것입니다. 胴部 가운데에 커다란 花文을 중심으로 葉文을 곡선 형태로 가득 표현하였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