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144

백지흑소락새나비문베개(白地黑搔落鳥蝶文枕)

타원형에 가까운 陶枕으로 위 上面 전체에 黑釉를 입히고 가운데에 稜花形의 黑釉面을 구획하고 그 안에 黑搔落技法으로 백색의 문양을 묘사하였습니다. 主文樣인 까치류의 꼬리가 긴 새와 나비 한마리, 그리고 고목의 표현은 흑유를 긁어 내어 백색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타원형의 도침 상면 가장자..

백지흑소락까치문베개(白地黑搔落鵲文枕)

磁州窯系 작품으로 큰 변화를 준 매력적인 작품중 하나입니다. 枕의 정상부인 如意頭形 아랫 부분은 안정감 있는 臺脚을 두었습니다. 베개 윗부분의 素地面 위에 백색 화장토를 바른 그위에 흑색 안료를 발라 입힌 후 부분적으로 긁어내거나 남기는 기법으로 문양을 새긴 搔落技法으로 灣曲되어 있는 枕面 가운데에, 古木의 운치있게 내리 늘어진 가지에 까치 한 마리가 앉아 쉬고 있는 모습을 繪畵的인 手法으로 사실감 있게 묘사하였습니다. 대영박물관 소장의 熊文陶枕, 일본 정가당문고 소장 모란문도침과 함께 자주요계 도침으로 걸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백지흑소락작문침(白地黑搔落鵲文枕) 北宋時代 (12世紀) 磁州窯 / 高21.2cm 徑33.3cm X 27.5cm 底徑14.5cm X 14.5cm / 出光美術館

백지흑소락곰문베개(白地黑搔落熊文枕)

상자모양의 臺脚 위에 如意頭形 베개(陶枕)의 上面에는 말뚝에 묶어 맨 여러 겹으로 꼰 끈(繩)을 목줄로 메인 곰이 두발로 서서 곧은 나무 작대기를 앞발로 쥐고 서있는 모습을 표현 하였는데 마치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 형국을 닮아 작가의 재치가 엿보입니다. 「如意頭形」 에서의 「如意」..

백지흑소락모란문베개(白地黑搔落牡丹文枕)

모서리를 동글린 方形의 臺에 여의두형의 上面으로 이루어진 베개입니다. 枕上面 가운데 裝飾面은 검은색의 표면을 긁어 내어 바탕을 꾸미고 문양은 검은색으로 남긴 白地黑搔落 기법으로 시문한 牡丹文은 성근 큰 꽃봉우리 달린 가지 하나가 위를 향해 솟아있고 그 봉우리를 감싸듯 양면으로 돌려..

백소락상감당초문장경병(白搔落象嵌唐草文長頸甁)

鐵分이 다분한 태토에 唐草文이 線彫되어 있습니다. 全體에 白化粧을 베풀고, 胴 부분의 바탕면 백화장을 깎아내고 문양만을 남긴다음 마지막으로 全體에 透明한 釉를 발라 燒成한 것입니다. 바탕의 褐色의 태토의 色으로 흰색의 가늘고 세련된 白化粧文樣을 더욱 돋보이게 조화롭습니다. 이러한 당초문은 民衆의 일상 그릇을 만든 民窯 그리고 磁州窯의 作風의 특색입니다. 백소락상감당초문장경병(白搔落象嵌唐草文長頸甁) 五代-北宋時代 (10世紀) 磁州窯 / 高41.2cm 徑19.9cm 口徑12.9cm 底徑11.5cm / The Cleveland Museum of Art,

백지흑소락초화문호(白地黑搔落草花文壺)

백지흑소락모란당초문호(白地黑搔落牡丹唐草文壺)와 백지흑소락모란문호(白地黑搔落牡丹文壺)의 同形으로 같은 방식의 백지흑소락 기법으로 胴側面에 三方으로 크게 稜花形의 구획을 黑搔落의 地로 두고 그 안에 白粉粧되었던 부분을 繪畵的의 문양으로 남기는 수법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3개..

백지흑소락모란문호(白地黑搔落牡丹文壺)

전체적으로 단아한 느낌에 胴下部가 느즈러지게 오무라진 맛을 주는 短頸壺입니다. 편함을 느끼게 하는 乳白의 여백에 여유롭게 배치한 牡丹 折枝 모두 같은 모양의 문양을 여기저기 큰 변화없는 매우 단순한 느낌을 줍니다. 꽃송이는 하나같이 세밀하게 線彫하였으며, 肩部의 二重蓮弁文의 內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