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162

분청(귀얄.상감.철회.상감)문대접 (粉靑大楪)

1. 외반(外反)된 구연과 내면은 상감문을 외면은 귀얄문을 한 비교적 높고 약간 외반된 굽이 달린 말끔한 분장회청사기 대접입니다. 2. 구연(口連)이 외반 되고 비교적 높은 굽이 달린 대접으로 내면 바닥에는 10개의 국화문을 다시 그 외곽에 연판문(蓮瓣文)으로 돌려 싸고 내벽에는 승렴..

분청사기 모란당초문 발 (粉靑沙器牡丹唐草文鉢)

구연에서 동체를 거쳐 하부에 이르기 까지 미미하게 넓혀내려 간 후 급격히 좁혀 둥근 바닥을 이루고 좁은 굽을 두어 불안정감을 주는 회청사기 발 입니다. 전면에 걸쳐 백토로 시문한 문양은 구연부에는 사슬 모양의 문양을 돌리고 그 밑에 3선을 구획선을 두고 동체에는 모란당초문을 ..

분청사기 이형문 발 (粉靑沙器異形文鉢)

귀얄기법은 돼지털이나 그와 같은 거친 털로 만든 붓으로 백토를 찍어 그릇 표면에 붓 자국이 남게 칠한 방법입니다. 이 그릇은 하부에 무게 중심을 둔 안정감 있는 그릇으로 약간 외반 된 구연에서 하부로 둥글게 안을 넓혀 내려가 동체 하부에서 급격히 좁혀 널찍한 바탕을 이룬 밑바닥..

분청상감운학문편병(粉靑象嵌雲鶴文扁甁)

象嵌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한 편병입니다 구연은 밖으로 벌어졌으며 동체는 양면을 두드려 편평하게 면을 준 곳에 손톱자국 모양으로 연봉 형태의 구획을 흑상감한 구획 안에 솟아오르는 학(鶴)을 흑.백으로 상감 하였습니다. 목 아래 어깨부분(肩部)은 변형된 연판문을 흑.백으로 상감하..

.분청인화국문항아리(粉靑印花菊文壺)

구연은 내반되었으며 견부는 둥굴고 넉넉하며 동체에서 하반부로 완만하게 좁혀 내려가 편평한 바닥을 이루어 안정감과 온화로움이 풍깁니다. 구연 바로 밑에는 돌려가며 화엽문을 돌렸고 다시 두 선을 음각으로 돌리고 국화문을 인화기법으로 촘촘이 돌려가며 시문하고 그 바탕선으로..

.분청사기철회어문병(粉靑沙器鐵繪魚文甁)

병 전체에 귀얄로 백토를 입힌 다음 목과 어깨부분에 일정한 넓이로 3개의 線을 돌리고 그 아래 몸통 중간에 짙은 산화철 안료를 사용하여 물고기와 연꽃을 교대로 그려 놓았습니다. 물고기는 마치 뛰어오를 것처럼 생동감이 넘칩니다. 충남 공주의 계룡산 가마터에서 제작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