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에서 동체를 거쳐 하부에 이르기 까지 미미하게 넓혀내려 간 후 급격히 좁혀 둥근 바닥을 이루고 좁은 굽을 두어 불안정감을 주는 회청사기 발 입니다. 전면에 걸쳐 백토로 시문한 문양은 구연부에는 사슬 모양의 문양을 돌리고 그 밑에 3선을 구획선을 두고 동체에는 모란당초문을 돌아가며 시문한 다음 3선의 구획선을 배치하였습니다. 조선 초기의 문양에 방식에 있어서는 대체로 2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섬세하고 세련된 우리의 문양과 투박하고 거친 중국 당초문을 시문한 방식입니다.
분청사기 모란당초문 발 (粉靑沙器牡丹唐草文鉢)
朝鮮 15世紀 前半 /高 11.7cm, 口徑cm, 底徑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귀얄.상감.철회.상감)문대접 (粉靑大楪) (0) | 2012.04.18 |
---|---|
분청사기 이형문 발 (粉靑沙器異形文鉢) (0) | 2012.04.18 |
분청상감운학문편병(粉靑象嵌雲鶴文扁甁) (0) | 2012.04.18 |
.분청인화국문항아리(粉靑印花菊文壺) (0) | 2012.04.18 |
분청사기귀얄문병 (0) | 201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