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분청(귀얄.상감.철회.상감)문대접 (粉靑大楪)

鄕香 2012. 4. 18. 22:52

1. 외반(外反)된 구연과 내면은 상감문을 외면은 귀얄문을 한 비교적 높고 약간 외반된 굽이 달린 말끔한 분장회청사기 대접입니다.  

 

2. 구연(口連)이 외반 되고 비교적 높은 굽이 달린 대접으로 내면 바닥에는 10개의 국화문을 다시 그 외곽에 연판문(蓮瓣文)으로 돌려 싸고 내벽에는 승렴문을 전면에 상감하였습니다. 외면은 귀얄로 백토를 시문하고 백토를 긁어내는 방식으로 빗줄무늬를 돌아가며 시문하였습니다.

 

3. 구연에서 안 바닥으로 급격히 좁혀 내려간 내벽에는 인화기법으로 승렴무늬를 그 아래 바닥 가까운 면에는 연판무늬를 상감하고 백토을 얇게 바르고, 바깥면에는 백토를 입힌 위에 철회로 넝쿨무늬를 시문한 좁고 낮은 굽이 있는 정성어린  분청철회넝쿨무늬대접입니다.

 

4. 높고 외반 된 굽에는 하단에 두 개의 바탕 구획선을 돌리고 굽 상단부에 하나의 선을 돌려 그 여백에 사선문(斜線紋)이 상감하고, 살짝 외반 된 구연 외부에는 짧은 사선문을 돌려가며 시문한 후 구획선을 돌리고 굽의 구획선이 있는 곳까지 전면에 돌려가며 연판문을 시문하였습니다. 내면의 외반 된 구연부에는 짧은 사선문을 내벽에는 승렴문(繩簾紋)을 그리고 바닥에는 변형된 외판문을 상감하였으며 유약은 푸른 끼 도는 유약을 발라 번조하습니다.       

 

                   1上

            3左+4右 

                   2下

 

1 .(上)분청귀얄문대접(粉靑귀얄文大楪)

朝鮮 15世紀 後半-16世紀 前半 / 높이(高) 9.7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2 .(下)분청상감문대접(粉靑象嵌文大楪)

朝鮮 15世紀  後半 / 높이(高) 9.5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3 .(左)분청철회문대접(粉靑鐵繪文大楪)

朝鮮 16世紀 / 높이(高) 8.4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4 .(右)분청상감문대접(粉靑象嵌文大楪)

朝鮮 15世紀 / 높이(高) 9.6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