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은 내반되었으며 견부는 둥굴고 넉넉하며 동체에서 하반부로 완만하게 좁혀 내려가 편평한 바닥을 이루어 안정감과 온화로움이 풍깁니다. 구연 바로 밑에는 돌려가며 화엽문을 돌렸고 다시 두 선을 음각으로 돌리고 국화문을 인화기법으로 촘촘이 돌려가며 시문하고 그 바탕선으로 두 선을 두고 동체 전 부분에 점문을 인화로 새겼으며 최하단부에도 두 줄의 구획선을 음각으로 돌려 새기고 구연부와 같은 모양의 국화문을 돌리고 다시 구획선을 음각하여 돌린 다음 일정한 모양의 연판문을 촘촘하게 시문하고 두 선을 돌려 마무리하였습니다. 모든 음각선과 인화문은 배토로 메우고 매끄럽게 손질한 다음 유약을 발라 번조한 귀품있는 항아리입니다.
분청인화국문항아리(粉靑印花菊文壺)
朝鮮時代<15世紀> / 높이(高)33.6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 이형문 발 (粉靑沙器異形文鉢) (0) | 2012.04.18 |
---|---|
분청상감운학문편병(粉靑象嵌雲鶴文扁甁) (0) | 2012.04.18 |
분청사기귀얄문병 (0) | 2012.04.18 |
.분청사기철회어문병(粉靑沙器鐵繪魚文甁) (0) | 2012.04.18 |
분청사기조화엽문자라형병(粉靑沙器彫花葉文鼇形甁)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