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花唐草文甁) 작은 병으로 口部가 曲口式입니다. 상감이나 인화기법으로 시문된 분청사기 병들에 비해 목이 짧고 굵어 졌으며, 무게중심이 위쪽으로 약간 올라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胴體의 中下部, 즉 평배된 부분까지 만 백토를 입혔으며, 그 위에 철화문 특유의 빠르고 자신있는 필치로 당초문을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분청사기 편병은 먼저 풍만한 병을 만든 후 전 . 후 양면을 두둘겨 평평하게 만드는데, 平平하게 할 때 납작하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 양감을 살려 풍만함을 남겨두는 것이 常例입니다. 이 편병은 다른 분청사기 편병에 비하면 前後面이 훨씬 납작하게 된 예에 속하며 편병으로서는 그 형..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모란문자라형병(粉靑沙器牡丹文鼇形甁) 조선시대 분청사기에는 생명력이 넘치는 器形과 더불어 어느 시대 어느 나라 도자기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문양이 시문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라모양의 이 병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에서 많이 제작된 기형 중의 하나로 携帶用 용기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鼇甁치고는 높이가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조화모란문반합(粉靑沙器彫花牡丹文飯盒) 뚜껑은 상면이 扁平하며 합은 하부가 팽창되어 量感이 있으며 거기에 약간 높고 밖으로 벌어진 굽이 달려 있는 조선시대 초기 반합의 전형적인 형태입니다. 이런 형태의 반합은 조선시대 초기 백자는 물론이고 鍮器나 청동기 등의 재질로도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뚜껑의 상면 중앙과 츶면에는 도안화..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인화문병(粉靑沙器印花文甁) 구부가 외반된 작은 병으로 동체 하부가 팽창되어 있어 양감이 돋보입니다. 목 아래에 띠선과 어깨에 縱條文帶가 각각 백상감되어 있습니다. 중앙 胴體에는 小圓文이 가득 印花되어 있습니다. 철분이 많은 태토를 용한 듯표면은 灰色을 띠고, 釉는 전면에 시유되었으며 미세한 빙렬이 있습니다. 하부..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상감연화절지문병(粉靑沙器象嵌蓮花折枝文甁) 盤口 형태의 口部를 갖춘 작은 병으로 동체 하부가 팽배되어 무게중심이 밑에있는 분청사기 병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 줍니다. 하부에는 면을 깎은 흔적이 있습니다. 肩部에는 파도문대가 있으며 胴體 중앙에는 세 곳에 蓮花折枝文이 상감되어 있습니다. 셋 중에서 두 곳의 연화절지문은 크고 거의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
분청사기상감당초문장군(粉靑沙器象嵌唐草文缶) 물레 성형 후 상하전후의 네 곳을 약간씩 쳐서 편편하게 만들었으며, 胴體 중앙에는 口部를, 한쪽 끝에는 마구리를 붙였습니다. 마구리 중앙에는 연판문이 있으며, 좌 . 우측에는 波濤文이 각각 상감되었습니다. 전후 양면의 주문양대에는 雷文帶를 地線으로 커다란 당초문을 굵게 面象嵌하였습니다.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201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