鷄龍山일대의 鶴峰里 가마에서 제작된 鐵畵甁으로 거의 수평으로 크게 벌어진 口部의 처리 짧고 가는 목을 지니 서서히 벌어지다 급히 줄어 좁은 굽에 이르는 胴體線
등 계룡산 병 특유의 선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면 전체를 귀얄로 백토분장하였는데 복부에는 일부 분을 바르지 않아 태토가 드러나 있어 거침없는 필치의 당초문과 더불어 구애받지 않는 자연스러움이 엿조입니다. 유약은 얇으며 굽은 거칠게 깎았는데 모래받침 燔造에 굽 안바닥에는 유약이 두껍게 뭉쳐 있는데 이처럼 초벌구이 후 터진 다닥에 유약을 잔뜩 발라 굽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朝鮮 15~16世紀 / 高28.5cm,口徑7.0cm,底徑7.7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철화당초문대접(粉靑沙器鐵畵唐草文鉢) (0) | 2010.01.12 |
---|---|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0) | 2010.01.12 |
분청사기박지모란절지문편병(粉靑沙器剝地牡丹折枝文扁甁) (0) | 2010.01.12 |
분청사기조화모란문호(粉靑沙器彫花牡丹文壺) (0) | 2010.01.12 |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0) | 201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