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역대 왕릉 36

기타 妃 嬪 園 등

《정의공주 · 양효공 묘 (貞懿公主 · 良孝公墓》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63-1에 위치하는 이 묘는 世宗大王의 둘째딸 정의공주(貞懿公主 : ?~ 1477)와 夫君 양효공 안맹담(良孝公 安孟聃 : 1415 ~1462)를 합장한 곳이다. 이 묘역의 봉분은 쌍분이고 신도비, 묘표 2기, 상석 2기, 문인석 2쌍 3단 계체석 등의 석물이 남아 있다. 양호공의 본관은 竹山으로 함길도 도관찰출척사 안망지(安望之)의 아드님이시다. 1428년(세종10년)에 14세의 나이로 세종의 둘째 따님 정의공주와 결혼하였는데 부부의 금슬이 매우 좋았다고 전한다. 세종은 그에게 한강 가운데 있는 저자도(楮子島)와 낙천정(樂天亭)을 하사하셨다. 그는 초서를 잘 써서 서예가로 이름이 높았고 음악과 의학에도 통달하셨다. 묘역의 묘표 2..

「추존 왕릉」덕종(의경세자)敬陵·원종(정원군)章陵·진종(효장세자)永陵·장조(사도세자)隆陵·문조(효명세자)綏陵」

《경릉(敬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서오릉 내 덕종(德宗 追尊王) · 소혜왕후(昭惠王后) 경릉(敬陵)은 덕종(德宗,1438-1457)과 왕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1437-1504)의 陵이다. 덕종(의경세자)은 조선 제 7대 임금 世祖의 맏아들로 태어나 세조가 단종을 겁박(劫迫)하여 왕위를 찬탈한 후 의경세자가 되었으나, 2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1457) 뒤에 그의 아들 成宗이 왕위에 오르면서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소혜왕후 한씨는 西原府院君 韓確의 따님으로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1455) 세자빈이 되어 月山大君과 成宗 형제를 낳으셨다. 성종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추존하여 소혜왕후가 되셨다. 燕山君 10년(1504) 68세로 돌아가셨다. 특히 불경에 조예가 깊었으며, 부..

조선국 제27대 순종황제, 순명효황후 민씨,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유릉)/純宗皇帝, 純明孝皇后 閔氏, 繼妃 純貞孝皇后 尹氏(裕陵)

《순종황제·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 / 유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홍유릉 내 裕陵은 조선의 국호를 개칭하고 황제국으로 발돋움한 대한제국의 제 2대 황제이자 최후의 황제인 조선 제27대 순종과 황후 純明孝皇后 閔氏(1872~1904)및 繼后 純貞孝皇后 尹氏(1894~1966)를 합장한 陵이다. 순종은 고종 11년(1874) 2월28일에 고종의 둘째 아드님으로 창덕궁 관물헌에서 태어나셨다. 고종12년(1875) 3월25일 왕세자에 책봉되시고, 광무(대한제국 고종 연호) 원년(1897) 10월12일 황태자가 되셨다. 광무 11년(1907) 1월21일부터 7월19일 까지 대리청정을 하시다가 7월19일 경운궁 돈덕전에서 고종의 뒤를 이어 황제위에 오르셨다. 황제위에 오른 후 年號를 융희라 ..

조선국 제26대 고종, 명성황후 민씨(홍릉)/高宗, 明成皇后 閔氏(洪陵 )

《고종황제·명성황후 민씨 / 홍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홍유릉 내 홍릉은 조선 제26대 고종(高宗)과 황후인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1851-1895)를 합장한 릉이다. 高宗은 哲宗 3년(1852)에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셨다. 즉위 후 10년간은 흥선대원군이 어린 고종을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리셨다. 고종 10년(1873), 직접 정치를 하게 된 이후 문호를 개방하여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셨다. 그러나 그 정책은 동시에 외세의 간섭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이 후 일본의 강요로 순종에게 황제 위를 물려주었고, 1919년 1월 21일 67세로 덕수궁 함녕전에서 돌아가셨다. 명성황후 민씨는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민치록 의 따님으로 고종 3년(1866) 왕비가 되..

조선국 제25대 철종,철인왕후 김씨(예릉)/哲宗 . 哲仁王后 金氏 (睿陵)

《철종·철인왕후 김씨/예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38-4 서삼릉 내 〈금천교禁川橋〉 홍살문 앞에 있으며 능 앞으로 흐르는 개울을 높이 일컬어 어구御溝 또는 금천禁川이라 하고 여기에 놓인 다리를 금천교라 한다. 금천교는 주로 능역의 수계가 맞닿는 홍살문 앞에 설치한다. 금천교는 그 안쪽이 바깥쪽과 구별되는 특별한 영역, 즉 임금의 혼령이 머무는 신성한 영역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풍수지리에 따른 배산임수(背山臨水 :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지세)의 의미 또한 지니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물은 산으로부터 흘러온 땅의 기운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금천교를 건너 홍살문 앞에서 바라본 예릉(睿陵) 情景으로, 홍살문紅箭門은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붉은 색을 칠한 ..

조선국 제24대 헌종, 효현황후 김씨, 효정황후 홍씨(경릉)/憲宗, 孝顯皇后 金氏, 繼妃 孝定皇后 洪氏 (景陵)

《헌종·효현왕후 김씨·효정왕후 홍씨/경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내 景陵은 조선 제 24대 憲宗(1827-1849, 재위1834-1849)과 첫 번째 비 孝顯皇后 金氏(1828-1843) 와 두 번째 비 孝定皇后 洪氏(1831-1904)의 능이다. 조선 왕릉 중 橫으로 나란히 자리한 유일한 三連陵 형태로 정자각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헌종, 가운데에 효현황후의 능, 오른쪽에 효정황후의 능이다. 1843년 효현황후의 능이 먼저 조성되었고, 1849년 그 왼쪽에 헌종의 능이 만들어 졌고 마지막으로 1904년 효정황후의 능이 가장 오른쪽에 만들어져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헌종은 익종(翼宗, 뒤에 文祖로 추존)과 신정황후의 아드님으로 순조의 뒤를 이어 1834년 8세의 어린 나이로 경..

조선국 제23대 순조, 순원왕후 김씨(인릉)/純祖, 純元王后 金氏(仁陵)

《순조·순원왕후 김씨/인릉》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1 헌인릉 내 仁陵은 조선 제23대 純祖(1790~1834, 재위 1800~1834)와 純元王后 金氏(1789-1857)의 능이다. 순조는 제22대 正祖와 유비 박씨의 아들로 1790년 창경궁 집복헌에서 태어나셨다. 정조 24년(1800)에 왕세자로 책봉되셨고 그 해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영조의 繼妃인 대왕대비 貞純王后가 왕을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렸다. 순조 재위기간은 외척의 세도정치의 부정부패로 국정이 어지러웠으며 자연재해와 홍경래의 난 등으로 사회적으로도 혼란하였다. 재위 34년(1834) 11월13일 45세에 경희궁 회상전에서 승하하셨다. 세상을 떠난 후 廟號를 純宗으로 하였다가 哲宗8년(1857년) 純祖로 추존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