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양각 도철문향로(靑磁陽刻 饕餮文香爐)

《청자양각도철문향로》와 마찬가지로 중국 은(殷) 주(周) 때의 고동기(古銅器)인 삼족정(三足鼎)의 형태와 문양을 청자로 번안해 낸 예 가운데 하나입니다. 원래 중국 고동기의 형태와 문양은 더 복잡하고 난해하지만 고려청자에서는 그것을 단순화시켰습니다. 고려청자 가운데는 이 작..

.청자도석인물형주자(靑磁道釋人物形注子)

청자도석인물형주자(靑磁道釋人物形注子) 국보(國寶) 167호 한국-(高麗)《11 世紀》/ 大邱廣域市 達城郡 公山面 내동 250번지 출토./高28cm, 口徑 cm, 底徑19.5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상형청자는 사물의 모습을 그대로 본떠 만든 것으로 이 주전자는 머리에 모자를 쓰고 도포를 입은 사람이 ..

.청자모란국화무늬 참외모양 병(靑磁 象嵌 牡丹菊花文 瓜形 甁)

긴 목 위의 아가리가 나팔처럼 벌어진 것이 외꽃 모양이고, 목의 중간부에는 2줄의 가로줄이 백토(白土)로 상감 되어 있습니다. 참외 모양의 몸체는 세로로 된 골을 내어 여덟 면으로 나누었고, 각 면마다 국화와 모란꽃을 한 줄기씩 교대로 흑백 상감하였습니다. 몸체 아래에는 역상감 기..

.청자 기린 장식 향로(靑磁 麒麟蓋 香爐)

고려시대의 뚜껑 덮는 청자 향로는 대부분 뚜껑에 다양한 동물상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주로 사자, 원앙, 오리와 같은 현실 속의 동물과 어룡(魚龍), 구룡(龜龍)과 같은 상상의 동물이 등장합니다. 이 향로의 경우는 상상의 동물인 기린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고려도경』에 따르면 금속..

.청자 사자 장식 향로(靑磁 獅子蓋 香爐)

『고려도경』에는 사자향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산예출향(사자 모양을 한 향로를 이름) 역시 비색인데, 위에는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연꽃이 있어 그것을 받치고 있다. 여러 기물들 가운데 이 물건만이 가장 뛰어나다...″ 기록과 차이는 있지만 이 ..

.청자 칠보 무늬 향로(靑磁 透刻 七寶文 香爐)

이 향로는 고려 청자의 대표적인 명품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 향로는 향이 빠져나가는 뚜껑과 향을 태우는 몸통, 그리고 이를 지탱하는 받침으로 이루었으며, 각각 다른 모양을 기능적으로 결합하여 완성된 조형물로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음각, 양각, 투각, 퇴화(堆花), 상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