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 청자 풀꽃 무늬 조롱박 모양 (靑磁 象嵌堆花 草花文 瓢形 注子 承盤)

퇴화기법으로 나타낸 무늬가 독특한 병입니다. 퇴화(堆花)기법은 백토(白土) 안료를 붓을 이용하여 무늬를 나타냅니다. 점을 찍어서 장식하거나, 무늬를 그리는 데 이용되지만, 사실적인 무늬 묘사보다는 단순화시키거나 왜곡된 경우가 많으며 철화기법과 같이 붓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현이 자유스럽습니다. 고려청자에 표현된 무늬는 그 작품에 생동감을 더해 줍니다. 자유로운 흑과 백의 필치는 이 주자와 승반의 무늬를 한껏 돋보이게 합니다. 표주막 모양의 주자에는 넝쿨무늬와 풀꽃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주자의 입구 아래에는 세로로 넝쿨무늬가 있고 목 부분에는 가로선이 있습니다. 물을 따르는 주구에는 마치 새로 돋는 싹의 잎맥을 묘사한 듯합니다. 철화와 백화 기법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대비 효과가 뛰어나며, 주구 부분은 테두..

.청자상감구름학무늬네귀항아리(靑磁 象嵌 雲鶴文 四耳壺)

학 무늬가 상감 장식된 초기 작품입니다. 고대 중국으로부터 학은 고고함과 천년의 장수를 누린다는 상징 때문인지 상감청자의 무늬 소재로 자주 등장합니다. 몸통에는 푸른 하늘을 떠다니는 ′之′자 형태의 구름과 그 사이로 여유롭게 날아가는 학의 모습을 묘사하였습니다. 우아한 ..

.청자 구름 학 무늬 매병(靑磁 鐵彩堆花 雲鶴文 梅甁)

상감청자에 많이 등장하는 학 무늬[雲鶴文]도 기법을 달리하면 이렇게 새로운 느낌을 줍니다. 철분 안료로 바탕을 칠하고 무늬 부분을 긁어낸 다음 붓으로 백토를 발라 표현한 것으로, 상감기법과 퇴화기법에서 보이는 맛이 동시에 나타나 한층 활달한 느낌이며 운동감이 있습니다. 형태..

.청자 상감 동화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銅畵 牡丹文 梅甁)

고려 청자에 동화(銅畵)기법(주성분이 산화된 구리로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그린 후 구워내면 무늬가 선홍색으로 나타나는 기법)을 이용하여 무늬를 나타낸 경우는 매우 드물고, 이처럼 매병을 장식하는데 사용한 예는 더욱 찾기 어렵습니다. 몸통에는 모란가지 세 개를 흑백상감으로 묘사한 후 꽃잎에 동화기법으로 붉은색을 입혀 화려함을 더했습니다. 청자 상감 동화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銅畵 牡丹文 梅甁)보물346호 한국-(高麗)《13세기》 / 청자(靑磁) 전체높이(全高) 34.5cm, 입지름(口徑) 5.8cm 밑지름 13.2cm/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청자 연꽃넝쿨 무늬 매병(靑磁 陰刻 蓮花唐草文 梅甁)

연꽃무늬를 감싸고 있는 넝쿨무늬의 윤곽선은 조각칼을 뉘여서 음각하였기 때문에 반쯤 양각(半陽刻)된 것처럼 보입니다. 고려 청자에 사용된 음각기법은 초기에는 가늘고 예리한 음각 무늬 이지만,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 중엽이 되면 이처럼 선이 굵어지고 반 양각된 것처럼 처리하..

.청자 음각 연꽃 무늬 매병(靑磁陰刻蓮花文梅甁)

연꽃무늬를 감싸고 있는 넝쿨무늬의 윤곽선은 조각칼을 뉘여서 음각하였기 때문에 반쯤 양각(半陽刻)된 것처럼 보입니다. 고려 청자에 사용된 음각기법은 초기에는 가늘고 예리한 음각 무늬 이지만,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 중엽이 되면 이처럼 선이 굵어지고 반 양각된 것처럼 처리하..

.청자 버드나무 무늬 병(靑磁 鐵畵 柳文 甁)

1, 철화청자의 특징인 대담한 의장과 구도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다른 철화청자에 비하면 문양이 비교적 간결하지만 버드나무를 재구성하여 별격(別格)의 세련미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렇게 독특한 형태의 통형병은 청자의 기형 가운데 이례적인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이청자는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