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철채퇴화점문나한좌상(靑磁鐵彩堆花點文羅漢坐像)

바위 모양의 대좌(臺座) 위에 팔짱을 낀 채 작은 책상에 의지하여 오른쪽 무릎을 반쯤 일으켜 세우고 앉아 고개를 약간 숙이고 눈은 반쯤 뜨고 있는데, 눈썹과 눈이 수려하고 코는 오똑합니다. 머리와 옷주름 일부, 눈썹, 눈동자, 바위대좌 등에는 철분이 함유된 검은색 안료를 군데군데 ..

별자리 제사에 쓰인 청자 접시(靑磁象嵌七元前排銘楪匙)

1.고려시대에 북두칠성에게 올린 도교(道敎) 제사에 사용된 접시로 보입니다. 접시 바깥 면에 ″칠원전배(七元前排)″라는 글자가 돌아가면서 상감되어 있는데, 칠원이란 칠성(七星), 즉 북두칠성을 말합니다. 도교에서 칠성은 칠원성군(七元聖君)으로도 불리며, 수명장수 등 인간의 길흉..

고려 청자의 여러가지 시문기법(高麗靑磁 施文技法)

1. 순청자(純靑磁)순청자(素文靑磁)란 아무런 무늬가 없는 청자를 이릅니다.이 청자는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부터 소멸될 때까지 가장 많이 만들어져 청자를 대표한다고말할 수 있습니다.12세기 절정기의 순청자는 띠끌하나 없는 청조한 색깔, 비취옥과 같은 신비한 翡色에 단아한 형태를 추구 했습니다. 1. 구연은 폭이 넓은 전이 달려 광구(廣口)를 이루고 목은 가늘고 길며, 몸체는 원통형입니다. 문양은 없이, 광택이 있고 반투명한 암록색의 유가 전면에 곱게 시유되었으며, 기벽면 일부와 저부에 유약이 뭉쳐 있지만 빙렬은 없습니다. 질이 좋은 태토에, 굽은 평저(平底)이나 바닥 중앙이 다소 오목하고 깎음새가 단정합니다. 바닥까지 시유한 뒤, 네 곳에 작은 규석(硅石)을 받쳐 번조하였습니다. 이 병은 구연이 넓고 얇..

고려청자의 이해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은 흔히 형태. 색. 문양 등 세가지 측면에서 이야기되곤 하는데, 먼저 매병(梅甁)에서와 같이 흐르는 듯한 線의 유려함, 비취옥과 같은 翡色, 그리고 자연을 소재로한 문양이지요.이러한 청자의 아름다움은 이들 세 가지의 요소가 각기 독자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며 나타나기에 그 아름다움이 더욱 돋 보이는 것입니다. 과장되거나 장식적인 중국청자와는 달리 우리의 고려청자는 線이 단정하고 유려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만져 보고 간직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합니다. 여기에 또 이름모를 풀꽃이나 청초한 들국화, 그리고 구름과 鶴, 물가 풍경 등 소박하고 단아하고 부드럽고 고고한 기품의 자연을 소재로한 문양이 도자기 형태와 잘 어우러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조건도 유약색이..

도자기와 문화(陶磁器와 文化)

별(지구)이 탄생하고 온갖 동.식물이 생성된 이후 그들은 생존을 위한 수단은 기후변화와 환경에 따라 생리적인 변화와 진화를 거듭 가져왔고 그들 생명체는 멸종과 탄생을 반복하면서 오늘에 이르기 까지 존재를 위해서 무엇을 섭취하고 자양을 충당한다는 것은 식물이든 동물이든 자연의 섭리요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