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 청자 국화넝쿨 무늬 합(靑磁 象嵌 菊唐草文 盒)

원통형의 몸체에는 국화넝쿨 무늬(菊唐草文)가 시원스럽게 돌려졌고, 백상감된 꽃 중심에 흑상감으로 꽃술을 표현했습니다. 뚜껑 중앙에는 국화꽃가지 무늬를 중심으로 흑백 상감 선을 이용한 쐐기형의 독특한 무늬를 장식한 것이 이채롭고, 뚜껑 옆면에는 번개 무늬(雷文)가 백상감으..

.청자원앙형향로개 (靑磁鴛鴦形香爐蓋)

원앙 모양의 장식을 얹은 향로 뚜껑입니다. 《청자사자향로》나 《청자양각기린형향로》와 마찬가지로, 향의 연기가 원앙의 몸을 통해 벌린 입으로 새나오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연밥 위에 머리를 반듯이 세우고 입을 벌려 짝을 부르는 듯한 원앙은 사실적이면서도 공예 조각이 지니..

이성계 발원 사리구(李成桂發願舍利具)

朝鮮王朝 開國 直前 當代에 追仰받던 李成桂를 中心으로 한 僧 . 俗人 萬餘人의 發願을 담은 舍利具로서 1932년 6월에 金剛山 月出峰의 石函內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리외함으로 사용된 白磁大鉢 4個와 銀製鍍金塔形舍利器,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8각원당형감(銀製8角圓堂形..

.악기 연주하는 인물 무늬 청자 매병(靑磁 象嵌 松下彈琴文 梅甁)

2.악기 연주하는 인물 무늬 청자 매병(靑磁 象嵌 松下彈琴文 梅甁) 몸체의 선이 곱고 문양도 아취 있는 매병이다. 몸체의 한 면에는 솔방울이 많이 달린 소나무 아래에 흑건(黑巾)을 쓰고 거문고를 타는 노인과 그 가락에 춤을 추는 학 한 마리를 흑백상감하였고, 반대편에 소나무 한 그루와 학 두 마리를 상감했다. 상감 의장이 매우 자유스럽고 익살스러워 도공의 그림으로서는 탈속한 맛이 있다. 특히 듬성듬성한 소나무 가지와 줄기의 곡선이 인물이나 학의 율동감과도 잘 어울려 풍아(風雅)한 경지를 보여준다. 몸체 아랫도리에 동파(凍破)라고 생각되는 커다란 균열이 있다. 유약은 옅은 녹색이 감도는 청자유이며 그물 모양의 빙렬(氷裂)이 있고 기포가 보인다. 굽 밑에는 유약을 닦아내고 내화토(耐火土)와 모래 빚음눈을 받..

.청자퇴화운학문매병(靑磁堆花雲鶴文梅甁)

적갈색 몸체에 구름과 학 무늬를 퇴화기법으로 적절하게 배치 시문하였습니다. 하단에는 연꽃잎무늬대(蓮瓣文帶)을 음각으로 돌렸고 그 아래 바라진(外反) 굽 언저리에는 번개문대(雷文帶)를 두었습니다. 청자의 색깔은 온도(1200~1300℃)와 습도, 그리고 태토와 유약에 함유된 미량의 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