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잔 받침 (高麗靑磁盞臺) 이 잔 받침은 잔을 받쳐주는 돈대로 잔탁(盞托) 또는 잔대(盞臺)라고 합니다. 잔좌(盞座)는 발(鉢)의 형태로 문양은 없고 다만 넓은 화엽형의 전에 안팍의 양 면에 음각선으로 화엽문(花葉文)을 새겼습니다. 굽은 곧게 뻗어 내리는 듯하다 갑자기 바라진(外反) 형태이며 그 자리에 청자유가..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靑磁象嵌菊花文八角楪匙) 1.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4구형원사지(密陽市 活城洞 四區瑩源寺址) 출토된 원형의 굽에 기면(器面)을 팔각으로 만든 접시의 바깥 8면에 면에 맞춰 각각 백상감으로 사각형의 창을 마련하고 그 안에 두 송이의 국화무늬를 창 마다 흑백상감으로 시문되어 있는 청자접시입니다. 청자상감..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청자퇴화점문유병(靑磁堆花點文油甁) 납작한 형태의 기름병보다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기름병으로, 바둑알 모양을 닮은 몸통 전면에 흑백의 퇴화 점을 자연스럽게 조화시켜 참신하고 현대적 미감을 느끼게 합니다. 청자퇴화점문유병(靑磁堆花點文油甁) 한국-(高麗時代)《11세기》/ / 도자기-(靑磁) 높이 4.8cm, 입지름 2.5cm, 바..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청자상감연봉문대접(靑磁象嵌蓮鳳文大楪)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3구형원사 절터에서 출토된 청자 대접 2점 입니다. 바깥 면에는 상하에 두 줄로 이루어진 가로선을 돌려 구획을 마련하고 그 안에 넝쿨무늬를 백상감하였습니다. 왼쪽 대접 안쪽 면 바닥에는 원무늬를 둘러싼 보상화무늬 안에 국화 세 송이를, 기벽에는 봉황 네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 청자 국화 무늬 기름병(靑磁 象嵌銅彩 菊花文 油甁) 납작한 형태의 기름병은 청자 전성기를 조금 지난 시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국화 무늬나 간략한 넝쿨 무늬를 인화 기법으로 처리한 것이 특징입니다. 동채(銅彩)는 국화 무늬의 중심에만 넣어 붉은색을 띠는데, 동화 안료는 강조할 부분에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청자 국화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 청자상감연동자문합(靑磁象嵌蓮童子文盒) 뚜껑 윗면과 바닥을 제외한 부분에 자잘한 주름 무늬를 넣어 꽃잎처럼 만든 합입니다. 뚜껑에는 연꽃을 잇는 넝쿨줄기에 매달린 네 명의 동자를 표현하였습니다. 동자들의 윤곽선과 옷의 무늬, 연밥에는 흑상감으로 검은 점을 찍어 생동감을 주었습니다. 청자상감연동자문합(靑磁象嵌蓮..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
.청자 상감 당초문 합(靑磁象嵌唐草文盒) 뚜껑 위에 이원화된 꽃잎모양으로 돋을새김하고 꽃잎마다 줄기를 교차적으로 흑백상감으로 번갈아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뚜껑중앙에 감아 말은 꼭지를 두었습니다. 몸체와 뚜껑의 돋아 오른 띠 모양의 구연에는 원문 띠를 돌리고 그 원 안에 각기 하나의 흑점을 찍었습니다. 청자의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7.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