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갈색 몸체에 구름과 학 무늬를 퇴화기법으로 적절하게 배치 시문하였습니다. 하단에는 연꽃잎무늬대(蓮瓣文帶)을 음각으로 돌렸고 그 아래 바라진(外反) 굽 언저리에는 번개문대(雷文帶)를 두었습니다. 청자의 색깔은 온도(1200~1300℃)와 습도, 그리고 태토와 유약에 함유된 미량의 철분이 이루어 내는 조화로운 색깔인데 이 청자는 그 삼박자가 적절하지 못한 결과로 적갈색의 빛깔을 가지게 된 것이지만 이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하겠습니다.
청자퇴화운학문매병(靑磁堆花雲鶴文梅甁)
한국-(高麗)《13세기》도자기-(靑磁) 高 32.9cm,口徑 6.2cm, 底徑cm / 國立中央博物館.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오리모양 연적(靑磁鴨形硯滴) (0) | 2007.12.05 |
---|---|
.악기 연주하는 인물 무늬 청자 매병(靑磁 象嵌 松下彈琴文 梅甁) (0) | 2007.06.07 |
.청자 뚜껑이 있는 매병(靑磁蓋梅甁) (0) | 2007.06.07 |
.청자상감 새 대나무 무늬 매병(靑磁 象嵌 鳥竹文 梅甁) (0) | 2007.06.07 |
청자상감매죽학문매병(靑磁 象嵌 梅竹鶴文 梅甁) (0) | 2007.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