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 청자상감국화넝쿨무늬완(靑磁象嵌菊花唐草文盌 )

고려 의종 13년(1159)에 죽은 문공유의 묘지(墓誌;죽은 사람에 대한 기록을 적은 글)와 함께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위로 벌어진 형태인데, 굽에서 아가리에 이르는 선은 완만한 선을 이루고, 대..

.청자 사자 장식 주전자와 받침(靑磁 獅子 裝飾 注子 承盤)

三段의 구획을 둔 뚜껑 상륜부 꼭지는 켭엽의 연봉오리 위에 하늘을 향해 표호하는 사자를 표현하였고, 그 아래에는 覆蓮과 複蓮을 합친 모양의 손잡이를 두고 그 아래 圓柱모양의 돈대로 구성되였습니다. 몸체 주자는 곧추선 口緣상부와 거의 평편한 어깨 모서리 사이에 둥근 띠로 ∩ ..

'정능'명 대접(正陵 銘 鉢) 모란당초문대접

이 삼강청자는고려 공민왕비의 능호인 正陵이란 명문이 있어 1365-1374 사이에 만들어 졌음을 알 수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삼강문양은 그대로 계승되었으나 조잡하고 거칠었으며 그 표면에는 밀도가 줄어득시 시작했고, 문양을 파서 백토나 자토를 매워 넣는 삼강 기법의 번거로움에서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