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국화문탁잔(靑磁象嵌菊花文 托盞) 잔은 십화형(十花形)이며 구연의 바깥면에 당초문대를 음각하고 각면에 음각모란문과 상감국화문을 교대로 배치하였습니다. 탁은 8화형(八花形)이며 가운데 높게 솟은 잔좌(盞座)의 상면(上面)에 국화문을 상감하고 잔좌 주위에는 파어문(波魚文)을 음각하였으며 굽의 외측면에도 국화..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상감칠보문병(靑磁象嵌七寶文甁) 이 병은 긴 목에 아래로 내려갈수록 둥글게 벌어진 작은 청자병입니다.구연은 일부 수리되었고 유는 빙렬이 거의 없으며 반 투명한 비색으로 일부 박락되었습니다. 동체 중간에 칠보문을 흑백상감하였습니다. 청자상감칠보문병(靑磁象嵌七寶文甁) gksrnr-(高麗時代)《12世紀》 / 出土地未..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상감국화문유병(靑磁象嵌菊花文油甁) 바둑알 모양의 이 기름병은 납작한 동체의 윗면에 국화문을 상감되었습니다. 굽 주위가 일부 산화되었으나 유색은 양호한 편이고, 굽바닥에는 소량의 모래가 섞인 내화토비짐 자국이 있습니다. 청자상감국화문 기름병(靑磁象嵌菊花文 油甁) 高麗時代 《12世紀》 / 出土地未詳 / 높이(高)4..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철화당초문유병(靑磁鐵畵唐草文油甁) 이 기름병은 입이 벌어지고 무게 중심이 하단에 놓였고 동체의 어깨 부분에 철화안료로당초문을 그려 넣었습니다. 유는 태토가 비치는 맑은 회청색으로 굽 바닥까지 시유 되었으며 굽은 안굽입니다. 청자철화당초문유병(靑磁鐵畵唐草文油甁) 한국-(高麗時代)《11世紀》 / 出土地未詳 /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상감모란절지문유병(靑磁象嵌牡丹折枝文油甁) 머리나 몸에 바르는 향기 나는 기름을 담기 위한 작은 병으로, 몸체 위쪽에 모란줄기 무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모란꽃은 백상감이, 잎은 흑상감이 되었는데, 도안화되어 사실적인 것과는 차이가 있으나 몸체와 어우러진 크기와 배치로 조화를 이룹니다. 청자상감모란절지문유병(靑磁..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상감국화문 유병(靑磁象嵌菊花文 油甁) 주판알 모양의 이 기름병은 경사진 동체의 윗면 상 하 위치에 흑점선을 동반한 백상감의 두 줄의 횡선대(二條橫線帶)를 돌려 구획선을 두고 그 여백에 5개의 국화문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감되었습니다. 동체 하단부와 굽 테두리에는 표현된 문양은 없습니다. 표면 유막에는 빙렬이 있습..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
.청자양각연당초문대접(靑磁陽刻蓮唐草文大楪) 구연이 약간 내경(內傾)한 대접으로 구연 일부를 수리 하였습니다. 내지중앙에 원을 음각하고 가운데 연화문과 내측면에 연화당초문을 압출 양각하였습니다. 빙렬이 없는 반투명한 회청색 유약을 전면에 얇게 시유하였습니다. 굽이 높고 접지면을 잘 다듬었으며, 굽안 바닥에는 '成' 자..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09.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