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리 김두량.김덕하 필 춘하도이원호흥도(春夏桃李園豪興圖) 이 그림은 1744년(영조 20년)에 김두량(金斗樑)과 그의 아들 김덕하(金德廈)가 합작한 <춘하도리원호흥도권 春夏桃李園豪興圖卷>과 <추동전원행렵도권 秋冬田園行獵圖卷>은 긴 횡축(橫軸 : 가로로 걸도록 길게 꾸민 족자)의 사계 풍속화(四季風俗畵)입니다. <춘하도리원호흥..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9
전 공재 윤두서 필 우마도(傳恭齋尹斗緖筆牛馬圖) 윤두서(尹斗緖. 1668-1715)는 본관은 海南이요 자는 효언(孝彦)이며 호는 공재(恭齋), 종애(鍾厓)이며 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증손이자 윤덕희의 父입니다. 실학자로서 經籍 뿐 아니라 천문.점술.병법 등 다양한 방면에 관심을 두고 연구 조사하여 체득하였으며, 이같은 實事求是의 정..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9
창주 이성길 필 무이구곡도 (滄洲李成吉筆武夷九曲圖) 이성길(李成吉 1562~1621/명종17년~광해군13년)의 본관은 고성(固城),자는 덕재(德哉), 호는 창주(滄洲), 인(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운손(雲孫)이고, 아버지는 참봉 정려(精藜)이며, 어머니는 유경인(柳敬仁)의 딸입니다. 성품이 호매(豪邁)하며 남에게 구애되지 않았으며, 17세에 비..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8
노사 목동도(老 柌 牧童圖) 왕버들가지에 물이 오르고 새싹이 돋아나는 화사로운 봄날, 목동은 고삐를 소 등에 걸쳐 놓고 소 등 끝으로 돌아 엎드려 부는 피리소리가 봄볕을 타고 흐르고, 덩달아 기분이 좋아진 소는 소리에 맞추는 듯 힘차지만 가볍게 발걸음을 옮기고 먼 산엔 아지랑이 가물거리는 봄날의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5
필자 미상 송백도(松栢圖) 필자를 알 수 없는 이 그림은 17세기 이전 시기에 유행한 안견파 화풍(安堅派畵風 : 조선 초기의 대표적 화가인 안견의 양식을 따른 화풍)의 영향이 짙습니다. 바위와 나무등걸과 가지에 적절한 농담으로 강한 인상을 준 묵법 그리고 공백을 맑은 묵으로 바위와 나뭇가지를 음영법..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5
허주 이징 필 유정방방도(遊艇訪芳圖) 이징(李澄, 1581-1674 이후)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함(子涵), 호는 허주(虛舟). 왕족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며, 화원으로 주부와 사과를 지냈으며, 1609년(광해군 1) 원접사(遠接使)의 수행화원으로 의주에 다녀왔고, 1623년(인조 1)에는 여항문인 유희경(劉希慶)의 요청에 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5
임당 백은배 필 하마선인도(淋塘白殷培筆蝦蟆仙人圖) 백은배(白殷培. 1820-1895 이후)는 조선 말기를 대표하는 화가 중의 한 사람으로 자는 계성(季成), 호는 임당(琳塘)이라 하였으며, 화원(畵員)으로 지추(知樞)를 지냈는데, 5세에 그린 백접병(百摺屛)이 있어 당시까지의 생존 사실이 확인될 뿐입니다. 이 그림은 신선도의 일종으로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