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553

남리 김두량.김덕하 필 춘하도이원호흥도(春夏桃李園豪興圖)

이 그림은 1744년(영조 20년)에 김두량(金斗樑)과 그의 아들 김덕하(金德廈)가 합작한 <춘하도리원호흥도권 春夏桃李園豪興圖卷>과 <추동전원행렵도권 秋冬田園行獵圖卷>은 긴 횡축(橫軸 : 가로로 걸도록 길게 꾸민 족자)의 사계 풍속화(四季風俗畵)입니다. <춘하도리원호흥..

창주 이성길 필 무이구곡도 (滄洲李成吉筆武夷九曲圖)

이성길(李成吉 1562~1621/명종17년~광해군13년)의 본관은 고성(固城),자는 덕재(德哉), 호는 창주(滄洲), 인(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운손(雲孫)이고, 아버지는 참봉 정려(精藜)이며, 어머니는 유경인(柳敬仁)의 딸입니다. 성품이 호매(豪邁)하며 남에게 구애되지 않았으며, 17세에 비..

임당 백은배 필 하마선인도(淋塘白殷培筆蝦蟆仙人圖)

백은배(白殷培. 1820-1895 이후)는 조선 말기를 대표하는 화가 중의 한 사람으로 자는 계성(季成), 호는 임당(琳塘)이라 하였으며, 화원(畵員)으로 지추(知樞)를 지냈는데, 5세에 그린 백접병(百摺屛)이 있어 당시까지의 생존 사실이 확인될 뿐입니다. 이 그림은 신선도의 일종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