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암 강세황 필 산수도 (豹菴姜世晃筆水墨山水圖) 강세황(1713~1791)의 본관은 晉州이고 자는 光之, 호는 豹菴.첨齊이며 벼슬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參判.시헌정諡憲靖 등을 지냈으며, 정조 8년(1784)에는 진하사은부사進賀謝恩副使로 연경燕京에 다녀왔으며, 1787년에 정조어진도사감조관(正祖御眞圖寫監造官)을 역임했습니다. 산..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2.06
소산 송상래 필 묵죽도 (蘇山宋祥來筆墨竹圖)2幅 송상래(宋祥來1773 (영조 49년)∼?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원복(元復), 호는 소산(蘇山). 문록(文祿)의 아들로서, 1827년(순조 27) 문과 춘당대시(春塘臺試)에 합격하였으며, 1841년(헌종 7) 사헌부대사헌에서 사간원대사간 벼슬을 지냈습니다. ≪잠영보 簪纓譜..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2.05
소산 송상래 필 묵죽도 병풍 (蘇山宋祥來筆墨竹圖屛) 송상래(宋祥來1773 (영조 49년)∼?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원복(元復), 호는 소산(蘇山). 문록(文祿)의 아들로서, 1827년(순조 27) 문과 춘당대시(春塘臺試)에 합격하였으며, 1841년(헌종 7) 사헌부대사헌에서 사간원대사간 벼슬을 지냈습니다. ≪잠영보 簪纓譜..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2.04
우봉 조희룡 필 묵국도 외 7폭 (又峰趙熙龍筆墨菊圖外七幅) 조희룡(趙熙龍. 1789-1866)은 평양 조씨로 자는 치운(致雲), 호는 우봉(又峰), 철적(鐵笛), 또는 호산(壺山) 등 입니다. 중인(中人) 출신으로 김홍도(金弘道)를 비롯한 화가들과 중인들의 전기(傳記)를 엮은 《호산외사》(壺山外史)를 펴내기도 하였으며 산수, 매화, 난 등의 그림에 뛰어..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2.02
북산 김수철 필 화훼도(北山金秀哲筆花卉圖) 본관은 분성(盆城) 자는 사익(士益) . 사앙(士盎) 호는 북산(北山). 이며, 생년 몰은 미상입니다. 산수와 화훼를 잘 그렸는데 대담한 생략과 맑고 청신한 담채를 구사하여 감각적이면서 근대적 풍미를 자아내는 그림이 특징입니다. 초기에는 정형화된 남종화풍을 토대로 한 김정희(..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2.02
북산 김수철 필 산수도 (北山金秀哲筆山水圖) 김수철(金秀哲 19세기)은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이색적인 화풍을 구사한 화가로 盆城 金氏로 자는 사상士像, 사익(士益), 호는 북산(北山)이며, 생년 몰은 자세한 기록이 없습니다. 산수와 화훼를 잘 그렸는데 대담한 생략과 맑고 청신한 담채를 구사하여 감각적이면서 근대적 풍미..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31
자연옹 이인문 필 산수도((紫煙翁李寅文筆山水圖) 이인문(李寅文. 1745-1824 이후)은 화원(畵院) 화가로 자는 문욱(文郁), 호는 고송류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유춘(有春) 또는 자연옹(紫煙翁)입니다. 벼슬은 첨절제사를 지냈고, 김홍도(金弘道)와 동갑내기로서 당시 화단에서 쌍벽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강세황(姜世晃), 신위(申緯)..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