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황(1713~1791)의 본관은 晉州이고 자는 光之, 호는 豹菴.첨齊이며 벼슬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參判.시헌정諡憲靖 등을 지냈으며, 정조 8년(1784)에는 진하사은부사進賀謝恩副使로 연경燕京에 다녀왔으며, 1787년에 정조어진도사감조관(正祖御眞圖寫監造官)을 역임했습니다.
산수.노송.난.죽.매.화조 등 다방면에 소재를 다루었는데, 유연한 필법과 담채법으로 이루어낸 진솔한 화풍으로 조선 남종화의 경지를 한층 높였으며 높은 식견의 감식가로서 당대 예원을 이끌었고, 김홍도를 비롯한 화원들에게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먼산은 우뚝 솟은 삼각산을 두고 그 산자락에 연무를 두르고 그 아래 중단 좌우로 큰 나무와 마을이 있는 동산을 두고 그 사이로 흐르는 시내 위에 좌우 마을로 이어진 다리를 두었습니다. 그 아래 흘러내린 시내는 넓은 강을 이루었습니다. 산은 짙고 거친 수묵점으로 나무와 숲으로 윤곽을 그렸습니다. 근경의 나무들은 농묵으로 점찍어 놓았는데 간결하게 묘사한 소나무의 검정 선묘와 함께 화면에 독특한 인상을 줍니다. 집들은 간결한 선으로 표현되었고 냇가 다리 앞에 우산을 받쳐든 인물 하나를 넣어 단조로움을 구하였으며, 우면 상단에 '표암' 묵서와 백문 방인이 있습니다.
표암 강세황 필 산수도 (豹菴姜世晃筆水墨山水圖)
조선시대 / (軸)紙本水墨(종이 위에 먹물그림) 83.5×44.3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德3988)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2 (謙齋鄭敾筆山水圖) (0) | 2012.02.07 |
---|---|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1 (謙齋鄭敾筆山水圖) (0) | 2012.02.07 |
소산 송상래 필 묵죽도 (蘇山宋祥來筆墨竹圖)2幅 (0) | 2012.02.05 |
소산 송상래 필 묵죽도 병풍 (蘇山宋祥來筆墨竹圖屛) (0) | 2012.02.04 |
우봉 조희룡 필 묵국도 외 7폭 (又峰趙熙龍筆墨菊圖外七幅) (0) | 201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