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鄭敾, 1676-1759)은 산수와 인물은 물론 짐승, 꽃과 새 그림 등 다양한 소재에 뛰어났는데, 특히 남종화풍(南宗畵風)을 토대로 조선 산천을 담은 진경산수의 전형을 확립하여 조선 후기 화단에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이후 그의 화풍을 따른 일군의 화가들은 ′정선파′라 불립니다.
이 산수도는 정선의 중년에 그려진 것으로 전통 화풍과 함께 그의 개성적인 필치가 담겨 있는 작품으로 보여 집니다.
삼각을 이룬 산자락에는 연무가 자욱하고 그 아래 거센 물줄기로 쏟아져 내리는 폭포, 좌측 아래 귀퉁이 산자락에 비스듬 휘어진 한 그루의 큰 활엽수와 갈대의 나부끼는 모습에서 비바람이 몰아침을 알 수 있습니다. 큰 활엽수 둔덕아래 물가 큰 바위에는 삿갓쓰고 도롱이를 걸친 한 인사가 서서 낚시에 여념이 없습니다.
이와 같은 화면 구도는 중국 전통 산수화의 양식을 따른 것입니다. 계절에 따른 경치의 표현은 남종화풍과 조선 중기에 유행한 절파풍(浙派風: 명대 절강지방 양식의 영향을 받았던 화가들의 화풍), 그리고 그의 특유의 필치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 그림은 본래 8폭병풍인 것을 각각 정리한 것 중 제2폭입니다.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2 (謙齋鄭敾筆山水圖) (德904)
朝鮮時代 / 鄭敾(1676~1759) /(原屛風) 紙本水墨 /縱 60.2cm × 橫 31.1cm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 4) (謙齋鄭敾筆山水圖) (0) | 2012.02.07 |
---|---|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 - 3) (謙齋鄭敾筆山水圖) (0) | 2012.02.07 |
겸재 정선 필 산수도 8-1 (謙齋鄭敾筆山水圖) (0) | 2012.02.07 |
표암 강세황 필 산수도 (豹菴姜世晃筆水墨山水圖) (0) | 2012.02.06 |
소산 송상래 필 묵죽도 (蘇山宋祥來筆墨竹圖)2幅 (0) | 201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