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창 조지운 필 송학도(梅窓趙之耘筆松鶴圖) 이 작품은 노송 위에서 고개를 숙이고 아래를 내려다 보고 있는 학을 묘사하였는데, 뛰어난 구성미를 보여줍니다. 휘어 틀어진 노송의 가지가 위로부터 밑으로 대각선을 이루며 뻗어 있고, 그 가지 위에 두 발을 가지런히 버티고 선 학이 무언가를 내려다 보고 있는 간결한 화면구..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6
가길 이영윤 필 화조도(李英胤筆花鳥圖) 이영윤(李英胤 1581~1611) 본관은 전주. 자는 가길(嘉吉), 일명 희윤(喜胤)으로 조선 왕조 종실(宗室)로 청성군(靑城君) 걸(傑)의 아들이며, 김제(金視)와 함께 조선 중기의 화단에서 절파화풍(浙派畵風)의 정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학림정 이경윤<鶴林正 李慶胤 1545(인종1년)~1611(광해군3년..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6
포저 조익 필 청죽도(浦渚趙翼筆靑竹圖) 조익(趙翼 1579(선조12)~1655(효종6)의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비경(飛卿), 호는 포저(浦渚)·존재(存齋).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영중(瑩中)이며, 어머니는 찬성 윤근수(尹根壽)의 딸이다. 이황(李滉) 계통의 학문을 이어받은 외조(外祖) 윤근수의 문인이며, 장현광(張顯光)에게..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5
취옹 김명국필산수인물도(醉翁金明國筆山水人物圖) 김명국(金明國. 1600-1662이후)은 화원화가로 자는 천여(天汝), 호는 연담(蓮潭) 또는 취옹(醉翁)입니다. 김명국은 나귀 탄 인물들을 즐겨 그린 듯합니다. 그중 하나로서 중단에는 피어오르는 안개 사이 시냇가 언저리가 보이고, 그 너머 상단에 원산(遠山)이 보입니다. 아래 하단 왼쪽..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5
호생관 최북 필 산수도(毫生館崔北筆山水圖) 본관은 경주(慶州). 초명은 식(埴). 자는 성기(聖器)·유용(有用)·칠칠(七七), 호는 거기재(居基齋)·성재(星齋)·삼기재(三奇齋)·기암(箕庵)·기옹(奇翁)·좌은(坐隱)·반월(半月)·호생관(毫生館). 아버지는 계사(計士) 상여(尙餘)이다. 1747년(영조 23) 통신사행(通信使行)의 수행..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1
북산 김수철 필 산수도(北山金秀哲筆山水圖) 北山 金秀哲의 산수화에서 흔히 느낄 수 있는 공통점은 화면이 한편으로 치우친 深遠法이나 平遠法을 즐겨 그린 山水입니다. 그리고 對象物을 주로 垂直으로 길게 혹은 옆면으로 길게 과장하면서 渴筆 비슷한 淡淡한 필선으로 윤곽을 거칠게 대충 그리고 그 안에 淡彩로 변화 있..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1
전 두산 이동명 필 계회도 (傳斗山李東明筆契會圖) 자는 성회(聖晦), 호는 두산(斗山). 출신배경이나 생애 등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유작으로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신선도(神仙圖)」 및 여러 종류의 화첩이 전하고 있습니다. 그림들은 정교하며 우아한 묘는 있으나 옛 그림을 모사한 것이 많으며 중국의 화보(畫..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