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익(趙翼 1579(선조12)~1655(효종6)의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비경(飛卿), 호는 포저(浦渚)·존재(存齋).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영중(瑩中)이며, 어머니는 찬성 윤근수(尹根壽)의 딸이다. 이황(李滉) 계통의 학문을 이어받은 외조(外祖) 윤근수의 문인이며, 장현광(張顯光)에게도 배웠다. 양명학자인 장유(張維)·최명길(崔鳴吉)과는 어려서부터 교분이 있었다. 성리학의 대가로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경학(經學)·병법(兵法)·복술(卜術)에도 뛰어났다. 임진왜란 때 음보(蔭補)로 정포만호(井浦萬戶)가 되어 1598년(선조 31) 군량미 23만 석을 운반하는 공을 세웠다. 1602년 과거에 급제하여 정자·검열을 지냈다. 1611년(광해군 3) 수찬으로 재직중 이언적(李彦迪)과 이황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한 정인홍(鄭仁弘) 등을 탄핵했다가 고산찰방(高山察訪)으로 좌천되었다. 이어 웅천현감을 지내다가 인목대비(仁穆大妃) 유폐사건이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광주(廣州)에 은거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직제학·동부승지·대사간·대사성·예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좌참찬 등을 역임했으며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대동법의 확장과 관리에도 참여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에는 실종된 아버지를 찾느라고 왕을 호종하지 못하여 유배되었으나 뒤에 정상이 참작되어 석방되었다. 효종 즉위 후 우의정에 올라 인조의 행장찬집청찬집관(行狀纂輯廳纂輯官)을 겸했다. 좌의정 재직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묘종사를 상소했으나 허락되지 않자 사직했다.화면 가운데를 수직으로 뻗어 올라 상단에서 갑자기 꺾여 수평으로 향하고 있는 대나무를 그린 이 그림은 윤곽선으로 형태를 묘사하고 그 안에 청록으로 채색을 가한 그륵법(鉤勒法)을 구사하여 조선 중기의 묵죽과는 색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화면의 오른쪽에는 마디부분의 생태를 정확히 파악해 보려는 작가의 의도가 엿보이는 굵은대나무가 그려져 있다. 화면 상단에서 꺾인 대나무 줄기의 모습이나, 몇몇 잎새들에서는 약간 경직된 분위기도 느끼지만, 지면의 풀들의 묘사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섬세한 필치의 효과를 잘 나타내고 있다.
포저 조익 필 청죽도(浦渚趙翼筆靑竹圖)
朝鮮17世紀 /조익(趙翼 1579(선조12)~1655(효종6) / (軸) 紙本彩色 /縱 100.9cm × 橫 53.0 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창 조지운 필 송학도(梅窓趙之耘筆松鶴圖) (0) | 2012.01.26 |
---|---|
가길 이영윤 필 화조도(李英胤筆花鳥圖) (0) | 2012.01.26 |
취옹 김명국필산수인물도(醉翁金明國筆山水人物圖) (0) | 2012.01.25 |
호생관 최북 필 산수도(毫生館崔北筆山水圖) (0) | 2012.01.21 |
북산 김수철 필 산수도(北山金秀哲筆山水圖) (0) | 201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