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당 백은배 필 파상선인도(淋塘白殷培筆波上仙人圖 ) 백은배(白殷培 1820~1900 이후) 임천(林川) 사람으로. 자는 계성(季成), 호는 임당(琳塘). 이윤민(李潤民)의 외손자로 아버지는 화원(畵員) 민환(敏煥)이고, 준환(俊煥)의 조카이며, 벼슬은 지중추부사에 지냈습니다. 인물·산수·영모(翎毛)를 잘 그렸으며, 1852년 철종 어진을, 1872년에..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2
작자 미상 청록화조도(靑綠花鳥圖) 이 3점의 화조도는 낙관이나 관서가 없어 작가(作家)는 알 수 없습니다. 긁히고 떨어져 나간 부분이 있지만 채색이 화려하고 쌍을 이룬 새 등 그림의 내용으로 보아 안방이나 규방에서 쓰던 부부의 화목과 부귀 번성의 염원을 담은 병풍그림입니다. 작자 미상 청록화조도(靑綠花鳥..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2
전 국오 정홍래 필 욱일응도(傳菊塢鄭弘來筆旭日鷲圖) 정홍래(鄭弘來, 1720-?)의 호는 국오菊塢.만향晩香이며 도화서(圖畵署) 출신의 화원으로 벼슬은 主簿 .敎授 를 지냈으며, 서른 다섯인 1755년(영조 31년) 영조의 기수연(耆壽宴)을 맞아 그리도록 한 《기사경회첩》 제작에 역시 궁궐에 소속된 화가였던 장득만(張得萬)과 함께 참여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1
진재 김윤겸 필 송파환도(眞宰金允謙筆松坡喚渡) 김윤겸(金允謙1711~1775)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극호(克讓), 호(號)는 진재(眞宰), 산초(山樵), 묵초(默樵)입니다. 김창업(金昌業)의 서자(庶子)로 진주 동쪽 소촌역(小村譯)의 찰방을 역임했습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실경산수화풍을 보여주는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대표작으..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1
단릉 이윤영 필 누각산수도(樓閣山水圖) 이윤영(李胤永1714~1759)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윤지(胤之), 호는 단릉(丹陵)·담화재(淡華齋)·담초재(澹草齋)이며, 이색(李穡)의 14대손으로 아버지는 단양부사 기중(箕重)이며, 서울 서대문 밖의 반송지(盤松池) 부근에 살면서 연못가에 정자를 짓고 오찬(吳瓚)·김향묵(金向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11
단릉 이윤영 필 화심유원(丹陵李胤永筆花深柳遠) 이윤영(李胤永1714~1759)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윤지(胤之), 호는 단릉(丹陵)·담화재(淡華齋)·담초재(澹草齋)이며, 이색(李穡)의 14대손으로 아버지는 단양부사 기중(箕重)이며, 서울 서대문 밖의 반송지(盤松池) 부근에 살면서 연못가에 정자를 짓고 오찬(吳瓚)·김향묵(金向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09
능호관 이인상 필 누상관폭도(樓上觀瀑圖) 이 그림은 쥘부채(摺扇)에 부착한 반원형의 종이에 그린 그림만으로 구성된 일련의 화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선면화집(扇面畵集)」에 엮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누상관폭도(樓上觀瀑圖)는 수묵만으로 그린 것으로 특히 이인상 회화의 관념적인 성격이 잘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