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를 알 수 없는 이 그림은 17세기 이전 시기에 유행한 안견파 화풍(安堅派畵風 : 조선 초기의 대표적 화가인 안견의 양식을 따른 화풍)의 영향이 짙습니다. 바위와 나무등걸과 가지에 적절한 농담으로 강한 인상을 준 묵법 그리고 공백을 맑은 묵으로 바위와 나뭇가지를 음영법으로 채워 그림의 맛을 더했습니다. 까실한 나뭇가지와 솔잎의 표현에서 절파적인 필법도 감지됩니다.
필자 미상 송백도(松栢圖)
조선 (17세기) / (軸)紵本淡彩 211.5×99.5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德1078)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주 이성길 필 무이구곡도 (滄洲李成吉筆武夷九曲圖) (0) | 2012.01.18 |
---|---|
노사 목동도(老 柌 牧童圖) (0) | 2012.01.15 |
허주 이징 필 유정방방도(遊艇訪芳圖) (0) | 2012.01.15 |
임당 백은배 필 하마선인도(淋塘白殷培筆蝦蟆仙人圖) (0) | 2012.01.12 |
임당 백은배 필 파상선인도(淋塘白殷培筆波上仙人圖 ) (0) | 201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