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박당의(金箔唐衣) 당의는 궁중의 소례복으로 치마 . 저고리 위에 착용합니다. 초록색 고급단 또는 紗에 자주 고름을 다는 것이 원래의 제식이며, 왕족녀는 직금이나부금으로 장식을 더하고 자색을 입으나, 조선조 중 . 후기에 따른 변화가 있습니다. 여기 보인 당의는 초록색 모란당초문단에 壽 . 福자 금박을 박아 왕족..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2
금박당의(金箔唐衣) 2 形製와 구성이 앞의 금박당의와 같으나, 내의와 외의가 모두 홑이며, 내의에는 고름은 있으나 동정이 없고, 거들지 처리는 앞의 금박당의와 같으면서도 섶선에서 내 . 외의를 서로 징그어서 한 벌 옷처럼 착용하게 만들었습니다. 감은 외의가 초록색 桃榴佛手紋紗,내의도 같은 紗이며 옷 표면 어깨에..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2
직금원삼(織金圓衫) 영조 2녀 화순옹주 유품 부녀 예복 중의 하나로 궁중에서는 대례복이나 소례복으로, 민간에서는 혼례복으로 쓰였습니다. 이 직금원삼은 英祖의 2녀 화순옹주 유품인 직금초록원삼으로 18세기 후반 공 . 옹주원삼의 화려한 격식을보여줍니다. 감은 겉이 壽福桃榴佛手紋緞, 안은 菊花唐草紋緞의 두 겹이나 겉감과 안감에 각각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1
초록원삼(草綠圓衫) 基本形製는 화순옹주 直衿圓衫과 같은나, 직금은 소매끝 색동과 汗衫에만 있어서 격식이 쳐집니다. 감은 녹색 석류수복문단, 안감은 홍색의 화점난문단, 안단은 감색의 운보문단이며 직금은 모란문입니다. 겉과 안을 따로 만들었고 겉감과 안감에 각각 감색 안단을 대고, 도련을 오그려서 연결하였습..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1
초록원삼(草綠圓衫) 基本形製는 앞의 '직금원삼織金圓衫'과 같으나 이 초록원삼은 직금이 소매끝 색동과 汗衫에만 있어서 격식이 쳐집니다. 감은 녹색 石榴壽福紋緞, 안감은 홍색의 花蝶蘭紋緞, 안단은 감색의 雲寶紋緞이며 직금은 牡丹紋입니다. 겉과 안을 따로 만들었고, 겉감과 안감에 각각 감색 안단을 대고, 도련을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1
활옷(闊衣) 조선시대 여성 혼례복의 일종입니다. 활옷은 왕실을 비롯하여 귀족이 혼례를 치르고 나서 신랑 . 신부가 사당에 告由祭를 지낼 때 입는 예복입니다. 홍색 공단 겉감에 남보라색 인조견과 안감을 대었습니다. 뒷자락 안감 중 . 하단 일부에 보라색 모란문단을 덧대었고, 양쪽 소매 안감으로 거친무명을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1
청삼조복(靑衫朝服) 조복은 나라의 大祀 . 慶祝日 . 元旦 . 冬至 및 詔勅을 반포할 때나 進表할 때에 입었던 관복입니다. 朝覲의 服이라 하여 왕이나 신하가 천자에게 나아갈 때 입는 옷이라는 뜻에서 나왔습니다. 청색의 龍補紋紗로 지은 이 靑衫은 紅衫의 밑받침 옷으로 홍삼과 마찬가지로 廣袖에 直領이고 검은 襈을 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