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제금은입사피리(鐵製金入絲笛) 쇠로 만든 가로부는 피리로서 조선 순조와 헌종代의 진찬의궤(進饌儀軌)에 그 당시 궁중의 잔치에 사용된 악기 중의 하나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바람을 불어 넣는 취구(吹口) 1개, 지공(指孔) 6개, 칠성공(七星孔) 4개가 뚫려 있습니다. 철피리 왼면을 쪼이질 하고 금과 은으로 꽃무늬와 松,..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5
철편,편곤,철퇴 철퇴, 철편, 편곤 등 곤봉류의 무기로서 병사들이 휴대하며 유사시 가격(加擊)하여 쓰던 것입니다. 고려시대부터 정형화된 무기로서 나타나며 지휘관들이 지휘봉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장식이 화려해졌습니다. 이들은 쇠로 만들어 외면을 쪼이질하여 은선(銀線)이나 은판(銀板)으..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5
유제은입사여의(鍮製銀入絲如意).철제금은입사여의(鐵製金銀入絲如意).철제은입사여의(鐵製銀入絲如意) 여의(如意)는 승려가 경을 읽거나 설법 할 때 지니는 도구입니다. 모든 것이 뜻과 같이 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기물(器物)입니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유입된 것이었으나, 그 형태에 있어 유입 당시 도교(道敎)의 유행으로 영지(靈芝) . 서운(瑞雲) 등 상징적인 사물의 형태에서 영향을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4
철제금입사가위(鐵製金入絲剪刀) 가위는 옷감, 가죽, 종이 등을 자르거나 오릴 때 쓰는 도구이며 이 가위는 날 끝이 잘려나간 듯이 각이 졌으며 가위 날 면에는 다음과 같은 (壽富貴康寧 壽富貴男子)글자가 금입사 되어 있는 보통 크기의 가위입니다. 손잡이의 모양은 마치 귀를 연상시킵니다. 이 가위는 끝 모양새로 보거..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2
담배합(鐵製銀入絲煙草盒)4점 조선시대에는 담뱃잎을 잘게 썰어 이를 담뱃대에 넣어 피웠기 때문에 썬 담배를 담는 그릇이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나무, 옥, 주석이나 백동(白銅)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담배합을 만들었습니다. 원통형의 이 담배합은 뚜껑을 열고 담배를 넣거나 덜어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사..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2
철제은입사초꽂이(鐵製 銀入絲燭架) 연필처럼 생긴 긴 몸체에는 물결문과 영기문을, 초꽂이 통에는 꽃과 잎무늬, 손잡이 목에는 문살문과 영기문, 동그랗게 원을 그린 손잡이 면에는 영기문을 정교하고 아름답게 은입사된 기품있는 초꽂이입니다. 철제은입사초꽂이(鐵製 銀入絲燭架) 한국(韓國)-조선(朝鮮)《19세기》 / 철제..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2
철제은입사연적(鐵製 銀入絲硯滴).철제은입사병(鐵製 銀入絲甁) 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