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333

유제은입사여의(鍮製銀入絲如意).철제금은입사여의(鐵製金銀入絲如意).철제은입사여의(鐵製銀入絲如意)

여의(如意)는 승려가 경을 읽거나 설법 할 때 지니는 도구입니다. 모든 것이 뜻과 같이 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기물(器物)입니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유입된 것이었으나, 그 형태에 있어 유입 당시 도교(道敎)의 유행으로 영지(靈芝) . 서운(瑞雲) 등 상징적인 사물의 형태에서 영향을 ..

철제은입사연적(鐵製 銀入絲硯滴).철제은입사병(鐵製 銀入絲甁)

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