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통보(海東通寶) 고려 및 조선시대, 그리고 중국에서 만든 각종 동전 400점을 모아놓은 것의 일부입니다. 우리나라의 동전은 삼한통보(三韓通寶), 해동통보(海東通寶), 동국통보(東國通寶), 동국중보(東國重寶), 상평통보(常平通寶) 등이 있고, 중국 동전은 개원통보(開元通寶), 성태통보(成泰通寶), 천원통..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08.01.05
마패(馬牌) 마패는 관원이 공적인 일로 지방에 출장을 가는 경우 역마(驛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서원(尙瑞院)에서 발급해주는 패를 말합니다. 초기의 마패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나 파손이 심해 1434년(세종 16년) 2월에 철로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그 후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던 시기에 이르러 구리로 만든 마패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마패는 앞뒤 면에 각각 다른 내용을 담고 있는데, 한 면에는 관원의 등급에 따라 말의 마리 수를 다르게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자호(字號)와 연·월 및 ″상서원인(尙瑞院印)″을 새겼습니다. 이 유물은 진유제(眞釉製) 마패입니다. (5-1)에는 ″상서원여자호일마패옹정원년정월일(尙瑞院麗字號一馬牌雍正元年正月日)″, (5-2)에는 ″상서원숙자호이마패옹정팔년육월일(尙瑞院宿字號二馬牌雍..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08.01.05
다듬이돌 다듬이돌.. 왠지, 그리움이 뭉클해지는 것은 옛 시절이 그리워서 겠지요. 여름날 왕십리 넓은 마당가에 풀 먹인 옥양목을 널어 놓으면 사각사각 뽀드득 하얀 정갈함에 엄마의 냄새가 나고, 한가롭게 울어대는 매미 소리와 함께 따닥따닥 따따다닥 울리는 다듬이 소리, 옛 여인들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07.06.03
이성계 발원 사리구(李成桂發願舍利具) 朝鮮王朝 開國 直前 當代에 追仰받던 李成桂를 中心으로 한 僧 . 俗人 萬餘人의 發願을 담은 舍利具로서 1932년 6월에 金剛山 月出峰의 石函內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리외함으로 사용된 白磁大鉢 4個와 銀製鍍金塔形舍利器,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8각원당형감(銀製8角圓堂形..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0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