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 노리개(七寶珩) 노리개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정장의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차던 패물장신구로 금은주옥을 써서 만들고 진주 술을 달았습니다. 노리개는 맨 위에 노리개를 고름 등에 거는 대금, 패물과 술, 이들을 띠돈에 연결하는 끈목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들의 소재가 다양하며 그 모양과 색깔이 매우 화려..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4
은 칠보 귀걸이(銀七寶耳飾)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귀고리를 많이 했으며 그 뛰어난 기교를 신라의 금이식 유물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귀를 뚫는 것이 야만스럽다고 하여 귀고리가 많이 줄었습니다. 하지만 귀거리에 대한 애착은 남아 귀를 뚫지 않고 고리를 만들어 귓바퀴에 거는 형식의 귀거..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4
빗치개 비(篦) 빗치개는 원래 빗살 틈의 때를 빼는 기구이나, 가리마를 타는데나 밀기름 바르는데도 쓰였습니다. 모양은 한 끝이 은 감잎처럼 둥글고 얇아서 빗치개가 되고 다른 끝은 가늘고 뾰족하여 가리마를 타기에 알맞습니다. 이 빗치개는 한 쪽을 편복 모양으로 꾸몄고, 그 한 가운데 칠보장식을 했습니다. 빗..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3
매죽잠(梅竹簪) 위의 비녀는 비교적 큰 머리 정면에 꽃 형상을 만들고 잠두의 중앙부분에는매화꽃잎 위에 산호를 嵌入하였습니다. 양 옆면에는 琺瑯을 입힌 댓잎을 조각하였고 둥근 곡선의 동체 상부의 부분은 대나무 마디 형태로 하고 칠보를 입혔습니다. 아래 비녀는 머리에 칠보를 입힌 댓잎과 花紋, 그 사이에 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3
옥로잠(玉鷺簪) 옥으로 만든 비녀로, 시원한 느낌을 주어 궁중이나 반가의 여성들이 여름철용으로 사용하던 것입니다. 옥은 잡귀를 물리친다고 믿어졌으며 장신구의 기본이 되는 재료입니다. 이 옥로잠은 머리를 투각하여 해오라기를 만든 것으로, 해오라기 簪頭는 흔하지 않은데 매우 섬세하여 귀족적인 멋을 풍깁..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3
이화잠(梨花簪) 비녀의 몸체는 은에 도금되어 있고 몸통은 가늘고 곧습니다. 도금하거나 은으로 만든 비녀는 주로 봄 . 가을이나 겨울철에 사용하였습니다. 이 비녀는 머리에 배꽃을 조각하고 그 중앙에 진주를 치장하였습니다. 이화는 배꽃으로 조선왕조의 성씨인 이씨를 상징합니다. 이는 고종이 중국의 제후국인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3
용잠(龍簪) 비녀의 재료는 금 . 은 . 백동 . 놋 . 진주 . 옥 . 비취 . 산호 . 나무 . 뼈 . 참대 등이었고, 머리 장식에 따라 鳳簪 . 龍簪 . 梅竹簪 . 竹簪 . 梅鳥簪 . 竹節簪 . 蓮峰簪 . 牡丹簪 . 石榴簪 . 花葉簪 등의 명칭도 생겨났습니다. 또한 비녀의 쿠기에 따라 큰 비녀는 주로 예복용으로, 작은 비녀는 일상용으로 쓰였..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201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