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토기(無文土器) (민무늬 토기 항아리) 영암 장천리(靈巖 長川里) 7호 주거지(住居址)에서 출토된 무늬없는 토기(無文土器)로 밑바닥이 약간 들렸으며 굽은 흔적만 있고, 몸체는 배가 부르며 구연부(口緣部)는 몸체에서 올라오면서 안으로 오므라들다가 밖으로 바라(外反)졌는데 바라지는 구연의 길이는 5cm입니다. 바탕흙(胎土)..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8.01.18
함평군 초포리 출토 곡옥(曲玉) 함평(咸平) 초포리(草浦里) 적석목관묘(積石木棺墓)에서 출토된 천하석제(天河石製) 곱은옥(曲玉) 1쌍은 피장자(被葬者)의 귀 부분이라고 추정되는 곳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초록색 바탕에 얼룩무늬모양의 반점이 있습니다. 형태는 타원형의 둥그런 고리를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각각 1..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8.01.18
요령식 동검(遼寧式銅劍) 우리나라는 중국 요령(遙寧)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청동기 문화가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청동기시대를 맞게 됩니다. 이러한 청동기는 요령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청동 유물 가운데 대표적인 동검의 이름을 따서 '요령식동검문화'라고 합니다. 요령식 동검은 비파를 닮았다 하..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8.01.02
한국식 동검(韓國式銅劍) 대전 서구 괴정동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 유적에서 출토된 한국식 동검입니다. 한국식 동검은 요령식 동검과 마찬가지로 검몸과 자루를 따로 만들었으나 요령식에 비해 검몸이 직선화되고 중간에 오목한 부분이 마디를 이루도록 갈려진 것이 특징입니다. 이 동검은 검몸의 등대에 세워진 각이 검몸 중간..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8.01.02
괭이(丁字形?) 이 곰배괭이(丁字形?) 두 점의 출토지는 알 수 없습니다. 긴 나무 자루에 ㄱ자 모양으로 묶어 덩어리진 흙을 잘게 부수거나 땅을 판판하게 고를 때 쓴 농사 도구로 추정됩니다. 자루에 묶는 부분은 직사각형을, 몸체는 원형을 띠고 있으며 어깨가 형성되어 있고, 판판하게 다듬은 점판암의..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홈자귀(有溝石斧) 충청남도 부여시 초촌면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된 홈자귀[有溝石斧]입니다. 몸체 한쪽에 끈을 묶기 위한 홈이 파여 있어 홈자귀라고 불립니다.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된 특징적인 석기 중 하나이며 전체적으로 잘 갈려있습니다. 홈자귀는 중국 화남지방 또는 한반도 서북지방의 턱자귀[有..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청동끌(銅鑿) 충청남도 부여시 초촌면 송국리 돌널무덤[石棺墓]에서 출토된 청동끌입니다. 끌은 나무를 가공하는 데 쓰이는 도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청동끌의 윗부분에는 홈이 파여져 있는데, 이는 같은 유적에서 출토된 요령식 동검(銅劍)의 슴베부분[莖部]에서 보이는 홈과 같은 모양입니다..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