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끌(石鑿) 충청남도 부여시 초촌면 송국리 유적 등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 출토된 돌끌[石鑿]입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대체로 홈자귀[有溝石斧]와 유사하나 홈이 생략되고 크기가 작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길기 때문에 도구 제작의 마무리단계에서 좁은 홈을 내거나 다듬는데 사용된 목공구로 생각..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돌도끼(兩刃石斧) 경기도 지역에서 발견된 돌도끼[兩刃石斧]입니다. 날은 양쪽에서 갈아 마치 조개가 입을 다문 듯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몸통은 전체적으로 쪼아서 다듬은 후에 갈았습니다. 돌도끼는 나무 자루를 묶어 주로 땅을 파거나 나무를 베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도끼(兩刃石斧) 한국(韓國..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바퀴날도끼(環狀石斧) 북한지역에서 발견된 바퀴날도끼(環狀石斧)입니다.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돌도끼로, 바퀴 또는 해 모양과 닮았다 하여 바퀴날도끼 도는 달도끼라고 부릅니다. 가운데가 볼록한 원반형의 테두리에 날을 세우고 중심에 자루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낸 것이 일반적인 형태인데, 날 ..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톱니날도끼(多頭石斧) 평안남도 개천군 용흥리에서 발견된 톱니날도끼[多頭石斧]입니다.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돌도끼로, 도끼의 날이 여럿으로 나누어져 톱니 또는 별 모양과 닮았다 하여 톱니날도끼 또는 별도끼[星形石斧]라고 부릅니다. 가운데에는 자루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있습니다. 이 돌도..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슴베 있는 화살촉(有莖石鏃) 경상북도 영일군과 칠곡군에서 발견된 돌화살촉입니다. 돌화살촉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슴베부분[莖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슴베 없는 화살촉과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유물은 두 점 모두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등날이 각각 슴베의 2분의 1 또는 3분의 1 지점까..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슴베 있는 화살촉(有莖石鏃) 돌화살촉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슴베부분[莖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슴베 없는 화살촉과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유물은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슴베부분이 단이 져 있고 등날은 슴베부분의 일단까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돌화살촉은 주로 청동기시대..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
슴베 없는 화살촉(無莖石鏃)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에서 발견된 돌화살촉입니다. 돌화살촉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슴베부분[莖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슴베 없는 화살촉과 슴베 있는 화살촉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유물은 슴베 없는 화살촉으로 두께가 매우 얇으며 가로 단면이 편평 육각형을 이루었고 화살.. 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2007.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