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 연꽃 넝쿨무늬 주전자 (靑磁蓮唐草文注子)

이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한국미술을 만나다."라는 주제로 열리고 있는 특별 전시회<2012년 6월 5일(화) ~ 8월 5일(일)>에 전시되어 있는 86건의 미술품중 하나입니다. 양 면에 각각 큰 연꽃무늬를 그 주변 여백과 全面에 넝쿨무늬를 역상감으로 새겼습니다. 역상..

청자 꽃 새 무늬 매병 (靑磁花鳥文梅甁)

이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한국미술을 만나다."라는 주제로 열리고 있는 특별 전시회<2012년 6월 5일(화) ~ 8월 5일(일)>에 전시되어 있는 86건의 미술품중 하나입니다. 동물학자이자 일본 미술품 수집가인 에드워드 실베스터 모스(1830-1925)의 소장품으로 보스턴미..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고려(高麗) 매병(梅甁) 양식의 원형은 원래 송(宋)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이미 12세기경에는 고려적인 독특한 선으로 한국화(韓國化)되어,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이런 고려(高麗) 매병의 양식은 바로 이 작품에서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 고..

.청자잎무늬매병(靑磁 鐵彩堆花 蔘葉文 梅甁)

무늬를 표현한 장식기법이 독특한 매병입니다. 철분 안료로 전면을 칠하고 문양 부분을 긁어낸 다음 백토(白土)를 붓으로 발랐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그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서로의 조건들이 잘 충족되었을 때만이 완성된 작품이 나올 수 있..

.청자운학문양이호(靑磁陰刻雲鶴文兩耳壺)

지금도 옹기점에 가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유형의 항아리입니다. 어깨 아래, 동채 중간 바로 위 양편에 손잡이를 마련한 후덕한 형태에 학무늬를 중심으로 구름무늬를 적절하게 음각으로 배치하였습니다. 청자운학문양이호(靑磁陰刻雲鶴文兩耳壺) 한국-(高麗)《12세기》/ 도자기-(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