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양각연화형연적(靑磁陽刻蓮花形硯滴)

연꽃 봉우리 모양의 연적으로 봉우리 한 켠에 넝쿨을 꼬아 올려 고리를 마련하고 그대로 연봉우리 위에 까지 뻗어 작은 연잎을 오무린 모습으로 주구를 마련하고 오무리 연잎 안에 뚜껑을 맞게 덮었으며, 굽은 안정감 있게 넓직하고 물을 따르는 출구와 연줄기 끝 부분은 보수되었습니다..

.청자양각연꽃잎무늬잔과 뚜껑(靑磁陽刻蓮瓣文盞蓋)

금방이라도 터질 것만 같은 연꽃봉우리 모양의 꼭지가 달린 뚜껑은 파문(巴文)모양의 음각선무늬가 있고 구연은 평행을 이뤘습니다. 몸체는 원통에 가깝고 仰蓮의 연꽃잎을 陽刻으로 시문한 후덕해 보이는 안정감이 있는 잔으로 빙렬이 있습니다. 투명한 유약 속으로 비취색 발색이 아..

.청자양각연판문타호(靑磁陽刻蓮瓣文唾壺)

몸통이 얕으며 작은 굽이 달렸습니다. 안쪽 바닥에는 당초무늬[唐草文]가 양각되어 있고, 굽의 바닥 부분에는 유약을 바르지 않았습니다. 중국 요주요(耀州窯)에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고려에 들어온 것입니다. 청자양각연판문타호(靑磁陽刻蓮瓣文唾壺) 한국 - (高麗)《1..

.청자상감국당초문잔(靑磁象嵌菊唐草文盞)

뚜껑이 있는 원통형 잔으로 연꽃봉우리 모양의 꼭지가 달린 뚜껑(蓋) 중간에 두 개의 선으로 원을 백상감으로 새기고 꼭지 바로 아래에는 흑백상감의 국화꽃무늬를 돌려 새겨 넣었습니다. 몸체에는 3단 구성으로 구연에는 번개무늬(雷紋)를 돌렸고 굽 언저리에는 연꽃잎무늬(蓮瓣紋)를 ..

.청자상감국화문잔(靑磁象嵌菊花文盞)

통 모양의 잔으로 측면의 선이 거의 직선이지만 입 언저리 부분에 가까워지면서 조금 안으로 숙어들었고 아랫도리에서 직각으로 꺾이어 바닥 안쪽에 굽이 붙어 있습니다. 입시울 아래에 뇌문(雷文) 띠를 백상감하여 돌리고 아랫도리에는 흰 상감대를 만들고 그 안에 연판문(蓮瓣文) 띠를..

청자상감국화문'정해'명팔각접시(靑磁象嵌菊花文'丁亥'銘八角楪匙)

팔각 器形에 낮은 굽다리를 가진 소형의 팔각접시로 내저에는 '丁亥' 銘이 흑상감으로 쓰여 있고 외측면은 백삼감된 二條線으로 구획되어 있습니다. 각 구획면마다 두 송이의 국화꽃과 가지가 도안화된 백 . 흑색의 상감으로 시문되어 있습니다. 기벽은 두껍고 묵직합니다. 유색은 어두..

청자상감국화문'임오'명접시(靑磁象嵌菊花文'壬午'銘楪匙)

胴體의 측사안은 사선으로 좁아지며 내려가고 口緣部는 넓으며, 底部에서 단을 이루며 낮은 굽다리를 가진 접시입니다. 문양은 상감기법으로 內底의 중앙에 간략한 '壬午' 銘을 두고 그 주위에 두 줄의 線帶와 如意頭文帶를 돌리고 있으며, 內측면 네 곳에는 도안화된 국화문을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