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 363

.청자십이판화형접시(靑磁十二瓣花形)

고려 인종왕릉(仁宗王陵)에서 출토된 청자 일괄유물이 갖는 유태(釉胎)의 특징과 평저(平底)접시의 기법과 닮고 있습니다. 또 이것과 동질동형(同質同型)의 크고 작은 각종 화형(花形)접시가 강진(康津) 청자가마터에서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2세기전반 무렵 최상급 청자 산지(産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