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십이판화형접시(靑磁十二瓣花形) 고려 인종왕릉(仁宗王陵)에서 출토된 청자 일괄유물이 갖는 유태(釉胎)의 특징과 평저(平底)접시의 기법과 닮고 있습니다. 또 이것과 동질동형(同質同型)의 크고 작은 각종 화형(花形)접시가 강진(康津) 청자가마터에서 출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2세기전반 무렵 최상급 청자 산지(産地)..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6
.청자과형주자(靑磁瓜形注子) 우리나라 토종 감참외를 꼭 닮은 몸체를 지닌 참외모양 청자주전자입니다. 뚜껑에 꼭지 겸 고리가 있고, 몸체 손잡이 위에도 고리가 있어 두 고리에 끈을 꿰어 매어 유실을 방지하게 되어 있습니다. 광택이 있고 암록색의 유(釉)가 전면에 곱게 시유(施釉)되었으며 투명한 유약 속으로 비..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5
.청자 병(靑磁 甁) 구연(口緣)은 폭이 넓은 전(顎)이 달려 광구(廣口)를 이루고 목은 세장(細長)하며, 동체는 원통형입니다. 문양은 없이, 광택이 있고 반투명한 암록색의 유(釉)가 전면에 곱게 시유(施釉)되었으며, 질이 좋은 태토에, 굽은 평저(平底)이나 바닥 중앙이 다소 오목하고 깎음새가 단정합니다. 바..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5
.청자원형도장(靑磁猿形印) 원숭이가 연꽃잎(蓮瓣文)무늬가 있는 돈대(墩臺)에 앉아 뭔가를 두 손으로 쥐고 입에 대고 있는 모양의 손잡이를 한 청자도장입니다. 청동도장에 비해 청자도장의 사례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청자원형도장(靑磁猿形印) 한국-(高麗時代) / 《세기》/ 도자기-(靑磁) / 높이 3.6cm, 지름 3.2cm / ..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5
.청자원형묵호(靑磁猿形墨壺) 원숭이가 참외 모양의 항아리를 등이 지고 일어서려 하나 힘에 부쳐 웅크리고 앉아 있는 형국의 발색의 빛깔 곱고 맑은 비취색의 12세기 청자묵호입니다. 묵호 (수중승水中丞이라고도 함)란, 먹을 갈물을 담거나 먹물을 담는 용기로서 그 쓰임은 연적과 비슷하나 연적은 글을 쓸 때 필요..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5
.청자원형묵호(靑磁猿形墨壺) 묵호 (수중승水中丞이라고도 함)란, 먹을 갈물을 담거나 먹물을 담는 용기로서 그 쓰임은 연적과 비슷하나 연적은 글을 쓸 때 필요에 따라 물을 용이하게 벼루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 이지만 묵호는 물을 담아 연적처럼 필요에 따라 물을 구기로 떠서 공급도 하고 글씨를 많이 쓸 때에 먹..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4
.청자거북모양연적(靑磁龜形硯滴) 고려시대 비석의 귀부(龜趺)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머리가 달린 거북을 형상한 연적입니다. 이미 삼국시대 신라 토기 주자 가운데 이러한 양식의 유형적인 선례가 있었으며, 고려에 들어와서 이런 모습으로 세련 발전한 것으로 짐작됩니다. 주구(注口)가 되는 용머리는 입을 벌려 연 줄..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