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꽃가지무늬매병(靑磁鐵畵折枝文梅甁) 몸통에는 철화 안료를 사용하여 종류가 다른 꽃가지 무늬가 시원하게 배치되었습니다. 각각의 식물은 열매가 매달려 있거나 꽃이 피어 있는 사실적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자연을 오랫동안 관찰하여 얻은 새로운 소재인 야생 화목(花木)을 대담하게 무늬로 사용했는데, 이는 고려 특유..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 참외 모양 병(靑磁 瓜形 甁) 고려 17대 임금인 인종(1123-1146)의 무덤인 장릉(長陵)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청자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 병은 12세기 중엽 고려 청자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지만 고려 청자를 대표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 병은 주름치마를 닮은 높은 굽(臺), 참외 모양의 유려한 몸(體), 부드..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유개잔(靑磁有蓋盞) 전(傳)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장릉에서 출토된 뚜껑이 있는 원통형 잔으로 북송대 정요(定窯), 자주요(磁州窯), 여요(汝窯) 등에서 영향을 받은 기종입니다. 북송대 청량사(淸凉寺) 여요(汝窯) 가마터에서 발견된 청자 뚜껑은 꼭지의 목이 길고 반원형이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인 개성..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 합(靑磁 盒)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장릉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청자 합입니다. 틀로 찍어서 만든 합으로 일반적인 고려청자 합에 비하여 크고 높은 편입니다. 뚜껑 측사면과 구연부 그리고 몸체 저부로 연결되는 주름 무늬가 어긋남 없이 단정하게 처리되었습니다. 반듯한 뚜껑 윗면에는 중..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방형대(靑磁方形臺) 전(傳)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장릉에서 출토된 윗면과 각 모서리 부분을 꽃잎 모양으로 만든 네모 받침대입니다. 비색 유약과 잔금 없는 깔끔한 유면(釉面), 단정한 기형 등이 특징입니다. 12세기 고려청자에서 주목되는 이러한 받침대들은 그 용도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방형대(靑磁方形臺) 《청자과형병》과 함께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에 있는 고려 인종(재위 1122-1146)의 왕릉에서 출토된 청자 유물 가운데 하나로 전해집니다. 똑같이 생긴 다른 하나와 함께 한 쌍를 이룬 것으로 짐작되지만, 용도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밑바닥은 틔어 있으며 일종의 4능화형대(四菱花形臺) 모..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
.청자접시(靑磁楪匙) 경기도 개풍군에 있는 고려 인종(재위 1122-1146)의 장릉(長陵)에서 '황통 6년'(皇統 六年. 1146) 명(銘)이 있는 시책(諡冊)과 함께 출토된 유물들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장릉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청자과형병》이 있습니다. 안쪽 바닥을 둘러 음각선이 한 가닥 있.. 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201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