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 모양의 잔으로 측면의 선이 거의 직선이지만 입 언저리 부분에 가까워지면서 조금 안으로 숙어들었고 아랫도리에서 직각으로 꺾이어 바닥 안쪽에 굽이 붙어 있습니다. 입시울 아래에 뇌문(雷文) 띠를 백상감하여 돌리고 아랫도리에는 흰 상감대를 만들고 그 안에 연판문(蓮瓣文) 띠를 흑백상감하였습니다. 몸체를 둘러서 네 군데에 흑백 두 줄로 마름꽃 모양(菱花形)의 테를 두르고 그 안에 국화꽃 가지를 하나씩 넣었으며 마름꽃 무늬 사이마다 국화꽃 가지 두 개를 아래위로 넣었습니다. 옅은 녹색을 띤 비색유(翡色釉)가 입혀졌고 미세한 기포가 가득히 나타나서 은은한 광택이 있으며 상감한 부위 위에 빙렬(氷裂)이 조금 있습니다. 굽 밑에 규사눈 세 개를 받쳐 구운 자리가 남아 있습니다
청자상감국화문잔(靑磁象嵌菊花文盞)
한국 - (高麗)《13世紀》/ 서울特別市-鐘路區 출토 / 도자기-(靑磁) 高 7.9 cm 口徑 7.0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양각연판문타호(靑磁陽刻蓮瓣文唾壺) (0) | 2012.04.04 |
---|---|
.청자상감국당초문잔(靑磁象嵌菊唐草文盞) (0) | 2012.04.04 |
청자상감국화문'정해'명팔각접시(靑磁象嵌菊花文'丁亥'銘八角楪匙) (0) | 2010.02.21 |
청자상감국화문'임오'명접시(靑磁象嵌菊花文'壬午'銘楪匙) (0) | 2010.02.21 |
청자상감모란문대접(靑磁象嵌牡丹文大楪) (0) | 2010.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