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188

「연가 칠년」이 새겨진 부처(「延嘉七年」 銘 金銅 佛 立像)

이 불상은 1963년 7월16일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하촌리 마을 밖 도로공사에 품팔이를 나온 이 마을 주민 강갑순(40세)와 장남 전병철(17세)군 母子가 산비탈의 돌무더기를 파헤치다가 땅속의 넓은 평석을 드러내자 네모반듯한 공간이 있었고 그 안에 누워 있던 금빛 찬란한 불상을 발견하..

황복사 터 삼층석탑 사리갖춤(皇福寺址 三層石塔 舍利具)

皇福寺는 慶州 狼山 동쪽에 위치한 新羅王室의 願刹로서 현재는 塔만이 남아있습니다. 1942년 경주 구황동의 삼층석탑을 해체 복원할 때 발견된 사리갖춤은 안에서부터 녹색유리병˙금합˙은합˙금동외함의 순서로 안치되었고, 금동 외함의 뚜껑에는 이 사리갖춤을 신문왕(神文王), 효..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구(益山 王宮里5層石塔舍利具 )

이 사리 장엄구는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왕궁리 5층석탑을 1965년 해체수리하던 중 일층 옥개석 내부와 찰주(刹柱)하부의 방형 심초석(心礎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1층 옥개석에는 방형사리공을 나란히 두 개 마련하였는데, 동쪽 사리공에서는 부처의 유골인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

계유명 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 阿彌陀三尊佛 碑像)

앞면에는 아미타삼존불을 중심으로 금강역사(金剛力士 : 인왕이라고도 하며, 절의 문이나 불상을 지키는 수호신), 나한(羅漢 : 부처의 가르침을 깨달은 성자) 등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뒷면에는 천불(千佛 : 과거, 현재, 미래에 존재하는 천불을 가리키. 어느 때나 무한한 부처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임)이, 양 옆면 하단에는 정면을 향하고 있는 용머리를 조각하고, 그 위로는 연꽃 위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飛天 : 천상 세계를 아름답게 장엄하는 존재)이 새겨져 있습니다. 뒷면은 4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5구씩의 작은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을 조각하였으며, 불상 사이사이에 사람의 이름과 관직을 새겨 넣었습니다. 네 면에 새겨진 명문에 따르면, 이 비상은 조각이 정교하면서도 장엄하고, 세부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