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종사8각5층석탑內금동부처(金銅 佛 坐像) 수종사 석탑 2층과 3층 옥개석 내에서 발견된 금동불상들 중의 하나입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대의를 걸친 형식을 취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대의의 처리는 수종사에서 발견된 다른 불상들과 구별되는 것입니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로 올려놓고 왼손은 왼쪽 무..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2.01
수종사8각5층석탑內금동부처(金銅 佛 坐像) 수종사 석탑 2-3층 옥개석 내에서 발견된 금동불상들 중의 하나입니다. 얼굴, 머리, 몸체 등 일부분은 녹이 슬었으나 도금된 상태는 좋은 편입니다. 몸체에 비해 큰 머리는 앞으로 숙이고 있으며, 곱슬머리 정면 중앙에는 계주를, 이마에는 백호를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대의는 두 어깨..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31
수종사8각5층석탑內금동보살(金銅 菩薩 坐像) 수종사 석탑 이층과 삼층 옥개석 내에서 발견된 금동보살상들 중의 하나입니다. 왼손은 무릎 위에 엄지와 중지를 맞대었고, 오른손은 들어 중지와 약지를 구부려 엄지와 맞대었고, 보관의 가운데에는 토끼가 새겨져있어 존명은 약사불의 협시인 월광보살로 추정됩니다. 또한 보관 뒷면..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30
수종사8각5층석탑內금동보살(金銅 菩薩 坐像) 수종사 석탑 2층 및 3층 옥개석 내에서 발견된 금동불상들 중의 하나이며, 머리에 보관을 쓰고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를 한 보살상입니다. 보관 정면의 원형 장식 안에는 음각으로 새를 표현하였는데, 이는 약사불의 협시인 일광보살의 도상적인 특징입니다. 오른손은 무릎 위..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30
작은 공양탑(靑銅 小塔) 사각형을 여러 층으로 쌓아올린 방형다층누각(方形多層樓閣) 형태의 공양탑은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어 현재까지 다 수 남아 있으며, 건물 내에 안치되어 불교용구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공양탑은 기단부(탑신을 올려놓는 기초)와 9층의 탑의 몸체가 선처럼 가늘게 ..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29
불경 상자(金銅 佛經匣) 작은 불경을 넣는 경갑입니다. 뚜껑에 경첩이 달려 있어서 여닫기 편하게 되어 있고, 뚜껑 위에는 고리가 달려 있어서 끈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경갑 앞면 가운데에 있는 거북모양의 단추를 돌려서 뚜껑을 여닫으며, 뚜껑에 의해 가려지는 경갑의 상단 부분에는 연꽃당초무늬..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27
부처를 모신 작은 집(金銅 佛龕) 불감(佛龕)은 작은 불당(佛堂)으로, 절에 가지 않고 집안 등에서 예불을 드리기 위해서 만든 것입니다. 문 안쪽에는 인왕상을 조각하여 마치 이 불감을 외부의 적으로부터 지키는 듯합니다. 안에는 구품인(九品印)을 한 아미타불상과 보살, 나한상 등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금동 불감(金銅..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