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 변상도 이 작품은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찾아나선 善知識 중에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는 장면의 글과 이를 그린 변상도입니다. 이 그림은 화엄경입법계품(華嚴經入法界品) 전체를 나타내는 구성을 가진 뛰어난 작품입니다. 끝부분에 사성기(寫成記)가 있어 '문경'이라는 사람이 변상도를 ..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6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해원품 정원본 권40 이 사경은 감색의 종이에 금니로 쓴 <화엄경> 정원본 제40권으로 고려인으로서 원나라의 자선대부장작원사(資善大夫將作院使)을 지낸 안새한(安賽罕)이 부모의 은혜와 공덕을생각하며1334년에 발원한 시경(寫經)입니다. 권머리에 이 책을 필사하게 된 경위와 보현보살의 설법상이 그..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6
묘법연화경제5권변상그림(妙法蓮華經第五卷變相圖) 화면 오른쪽에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 장면을 그리고, 왼쪽 편에 경문(經文)의 설화 내용을 그린 『법화경』 제5권의 변상도이다. 석가 설법 장면은 오른손을 올리고 상체를 약간 숙이며 설법에 열중하고 있는 부처와 합장을 하고 몸을 앞으로 숙여 설법을 경청하고 있는 청문중(聽聞衆)의..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5
묘법연화경제4권변상그림(妙法蓮華經第四卷變相圖) 화면 오른쪽에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 장면을 그리고, 왼쪽 편에 경문(經文)의 설화 내용을 그린 『법화경』 제4권의 변상도이다. 석가 설법 장면은 오른손을 들어 설법에 열중하고 있는 부처와 그 주위를 아난과 가섭존자, 8대보살, 그리고 사천왕이 에워 싼 모습과, 그 앞에 두 손을 모아 ..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5
백지묵서 묘법여화경 절본사본 권 6 흰종이에 먹으로 쓴(白紙墨書) 7권(卷) 7첩(帖)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습니다. 첫 책 첫머리에는 변상도(變相圖)가 있고 끝책 말미에는 조선 태종 15년에 이(李)씨 부인이 남편 유근(柳謹)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사성(寫成)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白紙墨書 妙法蓮華經 折本寫本 卷 六 보..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5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권1 , 권7 이 사경은 고려 우왕(禑王3年)3년인 1377년에 하덕란(河德蘭)이 그의 돌아가신 어머니인 철성군부인 이씨(鐵城君夫人 李氏)의 명복을 빌고 아버지 중대광 진성군(重大匡晉城君)의 장수를 빌기 위하여 쓴 것입니다. 각 권의 머리에는 설법하는 그림이 금니(金泥)의 가는 필치로 아름답게 그.. 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2007.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