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산 노수현 필 관폭도(心汕盧壽鉉筆觀瀑圖) 觀瀑圖는 조선조 문인화가들이 즐겨 畵題로 삼던 산수화 중 하나입니다. 心汕이 1946년에 그린 이 작품은 왼편으로 角을 이루는 구도로 화면 왼편으로는 바위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고 그 아래 물안개에 가려진 계곡에는 폭포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솟아 오른 바위 봉우리와 화면 오른편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11
심산 노수현 필 청산무진(心汕盧壽鉉筆靑山無盡) 皴 <청산무진(靑山無盡)>은 心汕 한창 때의 의욕과 패기와 기량이 집대성된 것으로서 한국의 한국 회화사에 한 획을 그은 대역작입니다. 이 작품은 1940년대 초반의 그림인데 그 시기는 '심산'의 나이 40대로 청년기의 銳氣가 패기로 성숙할 때이며 老年의 완숙을 앞둔 동적이고 가변적인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10
심산 노수현 필 강변(心汕盧壽鉉筆江邊)(畵帖) 수묵의 빠른 붓질로 단숨에 쳐나간 小品이지만 文氣짙은 趣意가 풍깁니다. 아마도 작가가 어느 날 詩趣에 젖어 즉흥적으로 그린 것 같습니다. 강 건너 산은 먹을 묻혔던 붓을 대충 빨아 청색을 약간 찍어서 달무리처럼 번지게 그렸고 그 산 아래로 엷은 먹 가는 선들이 수면 위로 드리운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10
심산 노수현 필 봉래선거도(心汕 盧壽鉉筆蓬萊僊居圖) 이 봉래선거도(蓬萊僊居圖)는 心汕이 1927년 어느 부인의 환갑을 축하해서 10幅屛에 一連으로 그린 큰 그림입니다. 畵題의 봉래선거란 중국에서 가상으로 이름 지어 부르는 三神山의 하나로 봉래산에는 武陵桃源이 있고 신선이 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상향을 표현한 이 그림은 둥글고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10
심산 노수현 필 신록(心汕盧壽鉉筆新綠)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1899~1978)은 黃海道 谷山 출생으로 호는 심산입니다. 그는 20세에 書畵美術院을 졸업하고 동기생인 靑田 李象範과 함께 心田 安中植에게서 그림공부를 배웠습니다. '심산'은 동아일보사와 조선일보사에서 도안과 삽화를 그리기도 했으며 1922년부터는 줄기찬 畵壇..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09
소정 변관식 필 일편추의(小亭卞寬植筆一片秋意) 이 그림은 小亭이 他界하기 1년 전인 1975년에 제작한 그림으로서 '소정'이 유년기를 보낸 黃海道 甕津의 고향마을을 그린 것이라고 합니다. 6幅屛으로 된 금빛 바탕의 큰 그림입니다. 水墨으로만 그린 一連의 農家風景입니다. 畵面 왼편 아래에서 오른편 아래로 활대(圓弧)처럼 이어지는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06
소정 변관식 필 외금강삼선암(小亭卞寬植筆外金剛三仙巖) 小亭은 많은 금강산 寫生作品들 중에서는 가장 많이 그려진 景觀이 바로 이 삼선암입니다. 구도는 대개 돌기한 암봉을 중심軸으로 화면을 2分하고 그 왼쪽에는 나란히 이어지는 두 개의 봉우리로 三仙巖을 설명해주고 오른편으로는 주봉 아래에 斜線으로 溪流와 계류를 건너 휴식처를 .. 조선시대(朝鮮時代)/근대 회화(近代繪畵) 201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