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石器時 鰲山里遺蹟址 遺物 『鰲山里遺蹟』 江原道 襄陽郡 손양면 鰲山里에 위치한 이 유적은 동해안으로부터 내륙쪽으로 약 200m 가량 떨어진 '쌍호'라고 불리는 석호의 동북모서리인 사구위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유적은 1977년 유적이 위치한 사구의 토사를 채취하여 호수를 매립하던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며, ..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4.17
3.빗살문토기(櫛文土器) 중서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中西部地方櫛文土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뽀족한 도구(單齒具)나 하나에 뾰족한 이가 여럿달린(多齒具)도구로 표면을 누르거나 그어서 각종 기하학적 무늬을 시문(施文)한 토기입니다. 문양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點과 線이며, 선은 曲線 보다 直線이 주류를 이..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4.01
2.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는 토기 아가리 부분에만 押引.押突.押捺(압인.압돌.압날)에 의한 문양을 돌린 것을 말합니다. 문양에는 爪文.竹管文.短斜線文(조문.죽관문.단사선문) 손톱자국.대롱.짧은 빗줄금.등과 이들 모양의 복합문양이 있습니다. 융기문(덧무늬)토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동남지방..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3.18
1.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토기 겉면에 진흙띠를 붙이거나 겉면의 바탕을 도두라지게 하여 여러가지 덧무늬를 만든 것으로 덧띠의 굵기와 문양구성 방법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隆起帶文(융기대문) 덧띠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刻目을 형성한 덧무늬이고, 융기선문은 각목이 없는 덧무..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3.10
新石器時代의 집터와 貝塚 .무덤.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물과 식량 자원이 풍부한 큰 강이나 바닷가 가까운 도서 지역에서 땅을 파고 만든 움집(竪穴住居수혈주거)을 짓고 모여 살았지요. 남긴 유적으로는 집자리와 조개무지,무덤 등이 있습니다. 집자리는 대체로 해안가 언덕이나 강변의 높은 평지에 위치하며, 일정한 깊이로 땅을 파..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3.10
新石器時代 기원전 8천년 경이 되면 구석기시대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는 후빙기가 되는데, 이 새로운 자연 환경 속에서 인류가 처음으로 원시농경과 목축에 의한 식량 생산을 하게 됩니다. 이를 배경으로 인류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시기를 신석기시대라 합니다. 유물로는 토기.석기.골각기.토제품과.. 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200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