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는
토기 아가리 부분에만 押引.押突.押捺(압인.압돌.압날)에 의한 문양을 돌린 것을 말합니다.
문양에는 爪文.竹管文.短斜線文(조문.죽관문.단사선문) 손톱자국.대롱.짧은 빗줄금.등과 이들 모양의 복합문양이 있습니다.
융기문(덧무늬)토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동남지방은 圓.尖底(원.첨저)의 半卵形(반계란형)이,
강원도와 동북지방은 平底에 鉢形(평평한 바닥에 바리때형)이 주류를 이룹니다.
구연문토기는 九州의 繩文(승문) 早期에도 나타나며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앙가라강 유역등에서도 보여
동북아시아 전체에 걸쳐 형성된 수렵.어로를 기본경제로 하는 古아시아족의 구연문토기권이 형성됩니다.
구연문토기가 출토되는 유적에서는 구연문토기와 器形과 製作手法은 유사하나 문양이 시문되지 않은 無文樣土器도 共伴됩니다.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A(襄陽 鰲山里)
크기:25.8cm
소장기관:서울대학교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A(襄陽 鰲山里)
크기:23.5cm
소장기관:서울대학교
양이부옹(兩耳附甕)두귀달린항아리, 민무늬토기(無文樣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A(襄陽 鰲山里)
크기:17.8cm
소장기관:서울大學校
무문양토기(無文樣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A(襄陽 鰲山里)
크기:18.1cm
소장기관:서울大學校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출토지:통영 연대도 조개무덤(統營 煙臺島 貝塚)
크기 : 높이 33.8cm
소장기관:國立晉州博物館
구연문 무문양토기(口緣文.無文樣土器)
출토지:춘천 교동 동굴(春川 校洞洞窟)
크기: 높이 11.9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출토지:부산 영선동 패총(釜山 瀛仙洞貝塚 )
크기:높이8.4cm
소장기관:東亞大學校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출토지:부산 동삼동 패총(釜山東三洞貝塚)
크기:높이15.3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우각형토기(牛角形土器)
출토지:釜山 東三洞 貝塚
크기:높이5.0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참고 사진 : 韓國의 先.原史土器(1993)
'선사(先史) > 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石器時 鰲山里遺蹟址 遺物 (0) | 2006.04.17 |
---|---|
3.빗살문토기(櫛文土器) (0) | 2006.04.01 |
1.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0) | 2006.03.10 |
新石器時代의 집터와 貝塚 .무덤. (0) | 2006.03.10 |
新石器時代 (0) | 200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