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토기 겉면에 진흙띠를 붙이거나 겉면의 바탕을 도두라지게 하여 여러가지 덧무늬를
만든 것으로 덧띠의 굵기와 문양구성 방법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隆起帶文(융기대문) 덧띠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刻目을 형성한 덧무늬이고,
융기선문은 각목이 없는 덧무늬인데, 각각 평행융기문,파상융기문,기하학적융기문 등이 있으며,
융기대문과 융기선문이 결합된 것, 침선문과 복합시문된 것 등이 있습니다.
시기적으로는 융기대문에서 융기선문, 그리고 타 문양과복합시문된 융기문의 순서로 변화해 갔습니다.
부산 東三洞, 통영上老大島,연대도 조개더미,등에서 빗살무늬토기층 보다 아래층에서 출토되었으며,
이 토기는 부산 김해를 중심으로 동남해에서 주로 출토 되지만 북으로는 양양 오산리,
서쪽으로는 신안 黑山島, 여수 松島, 내륙 지방으로는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유적에서도 출토되고 있어
조사가 진행되면 분포 범위가 더 넓어 질 수도 있습니다.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襄陽 鰲山里)
크기:높이 34.7cm
소장기관:국립광주박물관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양양 오산리(襄陽 鰲山里)
크기:15.5cm
소장기관:서울대학교
注口附隆起文土器(寶物597號)
출토지:부산 영선동 (釜山 瀛仙洞)
크기:높이12.0cm
소장기관:東亞大學校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여천 돌산송도패총(麗川 突山 松島貝塚)
크기:높이35.2cm
소장기관:國立光州博物館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통영 연대도 패총 7호적석묘(統營 煙臺島 貝塚 7號積石墓)
크기:높이9.6cm
소장기관:國立晉州博物館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통영 연대도 패총 7호적석묘(統營 煙臺島 貝塚 7號積石墓)
크기:높이9.6cm
소장기관:國立晉州博物館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
출토지:울산 신암리(蔚山 新岩里)
크기:17.1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융기문양토기(隆起文樣土器)
출토지:김해 수가리 패총(金海 水佳里)
크기:높이20.6cm
소장기관:釜山大學校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빗 모양의 무늬새기개를 이용해서 그릇의 표면에 각종 기하학적 무늬를 구성한 것으로
우리나라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입니다. 무늬 구성은 끝이 뾰죽한 도구로 누르거나 그어서
만든 빗금을 가로 또는 세로로 밀집 병렬시켜 장식한 이른바 생선뼈무늬(魚骨文)를 비롯해서 다양합니다.
이러한 기하학 무늬는 원래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바이칼,몽골까지 퍼졌던 고대 시베리아 인들과
관련된 것으로서 시베리아를 거쳐 한반도에 퍼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늬 구성이 다양할 뿐 아니라 덧무늬토기와는 달리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를 빗살무늬토기 문화라고 합니다.
한편, 신석기시대의 토기는 지역에 따라 형태와 무늬 구성에 차이를 보이는데,
대체로 서북,동북,중·서부지방, 그리고 남부해안지방 등으로 나뉩니다.
서북지방토기는 토기 밑이 뽀죽한 포탄형이며 빗살무늬가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중·서부지방토기는 뾰죽바닥의 빗살무늬를 기본으로 하는데 아가리와 몸통과 바닥에 걸친
무늬 구성을 보면 전체에 새겨지다가 바닥쪽에서 부터 생략되는 방향으로 변화됩니다.
동북지방토기는 거의 납짝바닥으로 되어 있으며 무늬는 번개무늬와 짧은 빗금이 조합된 것이 많습니다.
반면, 남부해안지방토기는 이른 시기의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변화된 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일부 납짝바닥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둥근바닥입니다.
이러한 시기별 지역별토기상의 특징은 대체로
早期,前期,中期,後期등 4기로 구분하여 설명됩니다.
참고 : 韓國의 先.原史土器(1993)
'선사(先史) > 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石器時 鰲山里遺蹟址 遺物 (0) | 2006.04.17 |
---|---|
3.빗살문토기(櫛文土器) (0) | 2006.04.01 |
2.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0) | 2006.03.18 |
新石器時代의 집터와 貝塚 .무덤. (0) | 2006.03.10 |
新石器時代 (0) | 200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