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3.빗살문토기(櫛文土器)

鄕香 2006. 4. 1. 09:54

 

 

중서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中西部地方櫛文土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뽀족한 도구(單齒具)나 하나에 뾰족한 이가 여럿달린(多齒具)도구로

표면을 누르거나 그어서 각종 기하학적 무늬을 시문(施文)한 토기입니다.

문양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點과 線이며, 선은 曲線 보다 直線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즐문토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器形과 문양에서 융기문(隆起文).구연문토기(口緣文)보다

지역성이 강하여 중서부.남부지방의 첨저토기문화(尖低土器文化圈)과

동북.서북지방의 평저토기문화권(平底土器文化圈)으로나뉘어집니다.

중서부 지방의 즐문토기는 직립구선(直立口線)에 尖 . 圓底로 이어지는 砲彈형.半卵形의 토기가 특징으로 

문양의 구성에서 시기적 차이를 보입니다.

前期에는 토기 전체를 三部位로 나누어 구연부에 單斜線文.點列文.

동체부胴體部에 어골문魚骨文, 底部에 放射線文이나 단사선문이 시문 되었습니다. 

後期로 가면서 문양이 점차 생략되거나 단일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져 저부와 동체부의 문양이 사라지고

단사선(單斜線文)문 등의 구연 문양만 남게 되고 어골문이나 平行單斜線文이 전면에 시문된 토기도 나타납니다.

한강유역의 즐문토기는 운모가 섞인 砂質胎土나 滑石.石線이 섞인 粘土質胎土의 것입니다.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서울 岩寺洞 住居址

크기:높이25.8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서울 岩寺洞 住居址

크기:높이21.5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서울 岩寺洞 住居址

크기:높이36.9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서울 岩寺洞 住居址

크기:높이50.2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始興 烏耳島 新浦洞地區貝塚

크기:(左)높이32.0cm

소장기관:明知大學校

  

*             *              *

 

남부지방즐문토기(南部地方 櫛文土器)

丸底의 半卵形토기가 주류를 이루며, 전기에는 구연부,동체부,저부에 각기 다른 문양이 시문되고,

중기에는 구연부에 삼각.梯形(사다리형) 집선문集線文이 나타나나

후기에는 동체부이하의 문양이 생략되고 구연부에만 短斜線文,集線文,格子文이 새겨집니다.

말기에는 문양의 퇴화가 뚜렷해져 구연부에 1~2줄의 斜點列文만이 남고 無文이 압도적으로 많아지며

二重口緣도 나타납니다.남부지방의 즐문토기는 중서부지방의 즐문토기와 유사성도 많지만 중서부지방에서 보이는

단사선문 보다는 융기문토기나 九州지방 승문토기(繩文土器)에 많이 보이는 집선문이 성행하고 있으며 또한 丹漆(단칠)토기에

많이 보이는 집선문이 성행 하며 또한 丹漆土器 二重口緣토기 등도 중서부지방에서는 보이지 않는 요소입니다.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統營 上老大島 山登貝塚

크기:높이29.1cm

소장기관:釜山水産大學校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金海 水佳里貝塚

크기:높이33.3cm

소장기관:釜山大學校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山淸 江樓里

크기:높이19.2cm

소장기관:國民大學校

 

 

 빗살무늬토기고배(櫛文土器高盃)

출토지:泗川 舊坪里貝塚

크기:높이7.1cm

소장기관:檀國大學校 

 

 

 

동북지방즐문토기(東北地方櫛文土器)

동북지방 즐문토기는 평저(平底)의 심발형(深鉢形)주류를 이룹니다.

初期에는 즐상시문구(櫛狀施文具)로 압인(押引).자돌(刺突)에 의해 구연부에만 문양을 시문하여

이전 시기의口緣文토기 전통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전기에는 구연부에 單斜線文.點列文이 시문되고 동체부에는 魚骨文이 시문됩니다.

중기에는 口緣 중간에서 동체부까지 沈線에 의한 어골문.단사선문.組帶文이 시문되며

새로이 와문(渦文)이 등장합니다.

후기에는 동체부에 평행선문을 그어 구획을 만든 후 그 안에만 무늬를 시문한 것이 특징이며

뇌문토기(雷文土器)가 성행하고 無文樣土器와 단칠토기(丹漆)의 비율이 증가합니다.

末期에는 無文樣化 경향(傾向)이 더욱 뚜렷해지며 孔列文도 나타납니다.

 

 번개무늬토기(雷文土器)

출토지:鐘城 元帥台貝塚

크기:높이 13.9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청진 농포동 유파패총(淸津農圃洞油坡貝塚)

크기:높이 13.9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鏡城 元帥台貝塚

크기:높이8.3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청진 농포동 유파패총(淸津農圃洞油坡貝塚)

크기:높이 8.9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청진 농포동 유파패총(淸津農圃洞油坡貝塚)

크기:높이7.0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출토지:청진 농포동 유파패총(淸津農圃洞油坡貝塚)

크기:높이7.5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무문양토기(無文樣土器)

출토지:청진 농포동 유파패총(淸津農圃洞油坡貝塚)

크기:높이9.8cm

소장기관:國立中央博物館 

 

참고 사진자료 : 韓國의 先.原史土器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