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빗 모양의 무늬새기개를 이용해서 그릇의 표면에 각종 기하학적 무늬를 구성한 것으로
우리나라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토기입니다. 무늬 구성은 끝이 뾰족한 도구로 누르거나 그어서
만든 빗금을 가로 또는 세로로 밀집 병렬시켜 장식한 이른바 생선뼈무늬(魚骨文)를 비롯해서 다양합니다.
이러한 기하학 무늬는 원래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바이칼,몽골까지 퍼졌던 고대 시베리아 인들과
관련된 것으로서 시베리아를 거쳐 한반도에 퍼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늬 구성이 다양할 뿐 아니라 덧무늬토기와는 달리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를 빗살무늬토기 문화라고 합니다.
한편, 신석기시대의 토기는 지역에 따라 형태와 무늬 구성에 차이를 보이는데,
대체로 서북,동북,중·서부지방, 그리고 남부해안지방 등으로 나뉩니다.
서북지방토기는 토기 밑이 뽀족한 포탄형이며 빗살무늬가 주종을 이루며,
중·서부지방토기는 뾰족바닥의 빗살무늬를 기본으로 하는데 아가리와 몸통과 바닥에 걸친
무늬 구성을 보면 전체에 새겨지다가 바닥쪽에서 부터 생략되는 방향으로 변화됩니다.
동북지방토기는 거의 납짝바닥으로 되어 있으며 무늬는 번개무늬와 짧은 빗금이 조합된 것이 많습니다.
반면, 남부해안지방토기는 이른 시기의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변화된 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일부 납짝바닥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둥근바닥입니다.
이러한 시기별 지역별토기상의 특징은 대체로
早期,前期,中期,後期등 4기로 구분하여 설명됩니다.
1. 중.서부지방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대동강,재령강, 한강유역과 서해안의 인접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는 뾰족바닥(尖底)을 기본으로 하는 반란형(半卵形)토기가 대표적입니다.
이 지역 토기의 특징은 바닥.몸통.아가리에 각각 서로 다른 무늬가 새겨진 초기단계에서
점차 바닥→몸통→아가리의 순서로 무늬가 생략되다가 청동기(靑銅器)시대의 민무늬토기로 넘어 갑니다.
2.남부지방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서.남해안 연안도서지방과 낙동강지류의 내륙지방을 포함하는 남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는 여러 종류의 토기형식이 존재하는데
특히 초기의 특징적인 덧무늬토기와 지두문(指頭文)토기는 다른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토기입니다.
전기 이후에는 중.서부지방의 영향을 받아 빗살무늬의 영역에 들어서지만 뾰족바닥과는 달리 바닥이 둥근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이 외에도 목항아리,귀때토기,붉은칠(朱漆)토기 등 중.서부지방에서는 보이지 않는 기형이 만들어지며 무늬도
이 지방의 특징적인 종류가 나타납니다. 전기에는 아가리 부분만 새겨지다가 전면 무늬로 바뀌며
차츰 중.서부지방과 마찬가지로 무늬가 생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또한 뾰족바닥에 무늬가 없는 토기도 있고
아가리를 접어 붙인 겹아가리(二重口緣)토기가 말기에 나타나다 민무늬토기로 넘어갑니다.
3.동북지방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두만강유역과 강원도지역을 포함하는 동북지방 빗살무늬토기는 납작바닥의 깊은바리(深鉢形)가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이른 시기에는 짧은 선이나 점으로 구성된 무늬를 몸통 윗부분 또는 아가리 둘레에 새기는 한편, 강원도 지역에서는
덧무늬토기와 함께 중.서부지방의 지탑리유적에서 출토되는 토기와 유사한 형태의 것도 만들어집니다.
중기 이후에는 새로이 타래무늬(渦文와문)가 등장하며, 아가리 밖으로 약간 벌어지게 만들어집니다.
후기에는 번개무늬(雷文)토기.붉은칠토기와 함께 민무늬토기의 비율이 크게 증가합니다.
4.강원도지방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청천강 이북의 내륙지방과 압록강유역을 포함하는 서북지방의 이른 시기, 즉 전기와 중기에 해당하는 유적으로는
의주 미송리 동굴유적이 유일하고 그밖의 유적은 후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전기의 토기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후기에는 토기들의 무늬에서 한반도 동북지방 및 요동반도와 비슷한
문화양상이 일부 엿보이는 목단지와 굽잔 등이 출토되고 있어 지역적인 특징이 투렷합니다.
參考資料 : 國立中央博物館
'선사(先史) > 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石器時代.(摩製石器간석기) (0) | 2008.01.02 |
---|---|
新石器時代 骨.角.貝 製品 (0) | 2008.01.02 |
新石器時 鰲山里遺蹟址 遺物 (0) | 2006.04.17 |
3.빗살문토기(櫛文土器) (0) | 2006.04.01 |
2.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 (0) | 2006.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