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 2120

『陵의 品格에 墓의 處地』(成墓)

성묘는 조선 제14대 선조의 후궁으로서 조선 제15대 임금 광해군주의 생모 恭嬪 金氏의 묘소이다. 묘소로서는 그 격에 맞지 않는 석물이나 갖춤이 陵의 품격이건만 부름은 묘이다. 공빈은 선조 10년(1577년) 큰 아들 임해군과 어린 광해군(당시 2세)을 남기고 25세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셨다. 그 후 광해군은 임진왜란 중에 많은 공을 세웠고,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1608년 선조가 승하하자 34세의 나이로 보위에 오르셨다. 광해군 2년(1610) 대신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어머니 공빈 김씨를 자숙단인공성왕후(慈淑端仁恭聖王后)로 올리고 殿의 이름은 奉慈라 하였으며 따라서 묘를 능으로 격상하여 성능成陵이라 하였고 그와 격을 같이하여 여타 왕릉과 같이 조성하셨다. 그 후 광해임금 15년(1623년)4월11일(..

조선국 태고조황제(건원릉)·원비 신의왕후 한씨(제릉), 계비 신덕왕후 강씨(정릉)/朝鮮國 太高祖皇帝(健元陵)·元妃 神懿王后 韓氏(齊陵), 繼妃 神德王后 康氏(貞陵).

《태조대왕·건원릉/太祖大王/健元陵》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내 《원비 신의왕후 한씨·제릉/元妃 神懿王后 韓氏/齊陵》개성시 판문군 상도리 《계비 신덕왕후 강씨·정릉/繼妃 神德王后 康氏/貞陵》서울시 성북구 정릉2동 산87-16번지 健元陵은 조선을 건국하신 태조대왕 이성계(李成桂1335-1408) 의 陵이다. 태조는 원나라 쌍성총관부에 속해있던 화령부(和寧府 : 함경도 영흥) 흑석리에서 1335년 음력 10월 11일 환조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 최씨(최한기의 女息)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셨다. 이름은 단(旦). 초명은 성계(成桂), 초자는 중결(仲潔), 자는 군진(君晋), 호는 송헌(松軒)이며 비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 1337年 陰9月~1391年 陰 9月23日)이시고, 계비는 신덕왕후..

묘법연화경 목판본妙法蓮華經 木板本(조선 초기 최고본)

조선일보에서 발췌한 이 사진의 작품은 일본 쓰시(津市) 세이라이지(西來寺)에 소장된 묘법연화경 목판본(妙法蓮華經 木板本)으로 세조 5년(1459년) 세종대왕의 5남 광평대군(廣平大君1425~1444)의 부인 신씨(申氏)가 왕실의 안녕을 빌며 발원한 것으로 550년 전 王子인 남편(廣平大君)을 잃고 ..

운전 허민 필 홍목단(芸田許珉筆紅木丹)

허민(許珉1912~1968)은 1912년 경남 합천군에서 장남으로 태어나서 1968년 57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처음 雪坡라는 號 썼는데 1941년부터는 芸田이라는 號를 사용했습니다. 그의 가문은 전통적으로 朱子의 '性理學'을 숭배해 오는 학덕 높은 집안이어서 그는 15세때에 이미 四書三經을 독파했..

제당 배렴 필 설악풍장/霽堂裵濂筆雪嶽楓粧(8曲連屛)

피상적인 색채를 떠나 線과 濃淡의 토착적 온화함으로 이룬 특수한 회화형식, 그것이 水墨畵의 특질이라면 霽堂은 누구보다도 이 정신적 함축성이 짙은 예술에 심취하였습니다. 오늘날 남아 있는 많은 그의 遺作 중에서 예술적 가치가 풍부한 것은 채색 짙은 彩色畵나 淡彩畵에서 보다..

제당 배렴 필 추강수조(霽堂裵濂筆秋江垂釣)

왼편에서 점차 오른편으로 깊숙이 멀어지는 구도를 취한 화면의 近景에는 역시 수풀우거진 아담한 동산을 배치하고 숲속에 포옥 감싸인 초가와 기와집이 엿보입니다. 한바탕 시끄럽게 쏟아지던 소낙비가 지나가자 산천은 다시 정숙해지고 윤기가 더욱 생동하며, 비에 씻긴 수목들도 한..

제당 배렴 필 연봉백운(霽堂裵濂筆連峯白雲)

이 작품은 1964년 제당이 제13회 국전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을 때 제작한 것으로 당시 그는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교수로 후진양성에 전념했으며,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받았습니다. 이 그림은 淡彩와 水墨濃淡로 온전히 文氣짙은 회화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霽堂 특유의 力作입니다. 前..